박용근, 행정통합 부화뇌동 경계, “신축년 한해‘지방소멸 1번지’벗어나기 위해 전력” 주장
상태바
박용근, 행정통합 부화뇌동 경계, “신축년 한해‘지방소멸 1번지’벗어나기 위해 전력” 주장
  • 오운석 기자
  • 승인 2021.01.08 18: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전국적인 행정통합의 분위기에 부화뇌동(附和雷同)하기 보다 전북의 인구감소 위기 극복위한 실질적 정책을 적극 개발 필요
박용근 전북도의원
박용근 전북도의원

[시사매거진/전북] 전라북도의회 박용근(행정자치위원회, 장수)의원이 8일(금) 보도자료를 통해 현재 급물살을 타고 있는 전주와 새만금 지역 등의 ‘행정통합론’에 대해 “권역별 통합 논의보다 전라북도가 ‘지방소멸 1번지’라는 오명을 벗기 위한 시ㆍ군별 인구 관련 특별지원책 마련이 더욱 시급하다.”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전라북도는 2018년 처음으로 1만명의 순인구유출을 기록한 이래 2019년까지 약 2만 6천여명의 인구유출을 기록했는데, 이는 장수군, 임실군과 같이 인구수가 적은 군이 하나 없어진 것과 같다. 그리고 출산율의 경우 지난 1981년 출생아 수가 약 4만 7천 여명을 기록해 정점에 도달한 이후 감소세가 지속되었고, 2019년 약 0.97명으로 나타나 경기도 0.94명에 이어 뒤에서 두 번째였다. 이마저도 경기도의 경우 낮은 출생율이 순인구유입으로 상쇄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라북도는 그 어느 자치단체보다 인구유출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를 놓고 박 의원은 “전라북도는 매년 신년사에서 각종 위기 종식과 전북의 대도약을 도민에게 약속했지만, 결과적으로는 매년 순인구유출이 매우 높고 출산율은 매우 적은 ‘지방소멸 1번지’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며, “전북도가 2021년 주요 도정방향으로 제시한 재생에너지ㆍ친환경ㆍ비대면 중심의 신산업 육성 등이 허장성세(虛張聲勢)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뚜렷한 성과를 낼 수 있는 만반의 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후 박 의원은 “전국적으로 행정통합의 분위기에 부화뇌동(附和雷同)하기 보다는 전북의 인구감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실질적 정책을 적극 개발해 ‘살고 싶은 전라북도’를 만드는 데 앞장서야 할 때이다.”고 강조했다.

도 지역 인구 이동 추이(명)와 전라북도 일부 자치단체 인구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19*

경기도

74,131

57,396

94,768

133,617

116,162

170,094

134,666

 

강원도

2,986

2,085

4,773

1,892

2,035

-3,854

1,661

 

충청북도

3,113

2,367

1,438

5,011

2,262

5,149

2,565

 

충청남도

13,375

9,810

10,272

15,318

19,401

10,084

-794

 

전라북도

-2197

-2563

-2830

-4419

-7206

-13773

-12748

22,501(진안)

전라남도

-2,306

-596

3,936

-3,205

-3,047

-8,030

-8,788

22,522(무주)

경상북도

-1,865

-988

-577

-3,151

-5,581

-9,225

-4,571

20,740(장수)

경상남도

3,794

6,075

5,105

1,772

3,979

-5,810

-9,310

25,664(임실)

제주특별자치도

7823

11,112

14,257

14,632

14,005

8,853

2,936

26,115(순창)

 오운석 기자 info1122@naver.com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