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 정세균 국무총리는 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회 본회의 긴급현안질문에서 '다른 나라와 비교해 우리나라의 백신 수급양이 적다'는 취지의 강기윤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대해서는 "현재로서 적당한 양보다 많으면 많았지, 적지는 않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라면서 "필요한 양을 확보했기 때문에 백신 양에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게 제 판단"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다른 나라는 왜 인구대비 5~7배를 확보했냐'는 질의에는 "그 나라들은 확진자 수가 몇 명인지 확인해보라"며 "백신을 공짜로 주는 게 아니지 않나. 다 국민 세금으로 하는 것이다. 정부는 언제 어느 정도의 물량을 계약하는 것이 최선인지 판단해서 하지 남의 나라가 하는 것이 무슨 그렇게 중요한가"라고 반박했다.
정 총리는 김 의원의 '늑장 백신 도입' 논란과 관련해 질병관리청장이 국민 앞에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에 "저는 거기에 공감하지 않는다"며 "특별히 책임질 일은 없다고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결국은 '우리가 언제 코로나19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가', 그것으로 평가받는 것이지 언제 시작했느냐가 중요하지 않다"며 "그리고 아무리 빨리 시작한들 집단면역을 이룰 수 있는 백신 접종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별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백신 접종 시기를 구체적으로 알려달라는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특정은 쉽지 않지만 일단 2월달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올 3, 4분기까지 국민 60~70% 접종 완료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구체적인 접종 시기를 공개하지 못하는 이유로 "백신 관련 계약서를 보면 일반 관련 산업의 계약서와 좀 다르다"면서 "공급 시기나 이런 부분에 대해서 특정이 잘 안 되어 있다"고 답했다.
이어 "국민들께 정부가 어떤 보고를 드리면 차질이 안 생겨야 정부 신뢰가 유지될 텐데, 정부로서는 쉽게 언제라고 말하는 게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정 총리는 "현제 아스트라제네카에서 식약처에 사용승인을 요청했는데, 원래 상당히 오랜 기간 걸린다"면서 "신속하게 허가를 내려고 준비하고 있는데 한 40일쯤 걸린다"고 아스트라제네카를 접종하지 않는 이유를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에서는 사용허가가 2월쯤엔 나올 것으로 생각하고 접종에 필요한 사전조치를 TF를 만들어 철저하게 준비 중"이라며 "아마 금년 가을 이전에 국민 60~70% 정도가 접종을 맞춰 집단면역이 가능한 수준이 이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희윤 기자 bond003@sisamagazine.co.kr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