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대학교 BK21 차세대 우주탐사 연구인력양성사업팀(http://168.188.91.49/BK)은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과학임무 중심의 우주탐사 개발 프로젝트로의 개혁이 필요한 시점임을 판단하고, 대형 우주탐사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인재 양성에 주력하는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우주개발을 위해서는 막대한 연구투자나 이에 상응하는 교육투자가 이루어져야한다.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선진국의 그것과는 사뭇 다른 것이 현실이다. 또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우주탐사 프로젝트는 공학적인 면에 치우쳐 투자한 만큼의 결과물을 도출하지 못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연구결과가 양산되지 못하고 있다. 1999년 연세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 이학박사 ■ 논문 및 수상경력
충남대학교 BK21 차세대 우주탐사 연구인력양성사업팀(http://168.188.91.49/BK)은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과학임무 중심의 우주탐사 개발 프로젝트로의 개혁이 필요한 시점임을 판단하고, 대형 우주탐사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인재 양성에 주력하는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충남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는 지난 10여 년간 우리나라 과학의 산실인 대덕연구단지내에서 천문연구원, 항공우주연구원, 과학기술원 등과 함께 연구 및 인력 양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한 BK21 차세대 우주탐사 연구인력양성사업팀은 천문우주과학 전 분야 중에서 충남대학교만의 특화된 천문광학관측, 우주환경관측, 우주현상 시뮬레이션 분야의 연구와 대학원 교육을 국제적 수준으로 끌어 올리는데 일조하고 있다.
지난 2007년 2월에서 3월까지 사업팀의 김용하 교수는 남극 세종기지가 위치한 King George Island에 24시간 유성을 관측할 수 있는 VHF 레이더를 설치하여 언론에 주목받은 바 있고, 2008년 5월에는 사업팀의 조정연 교수가 공동저자로 참여한 ‘Turbulence and Magnetic Fields in the Large-Scale Structure of the Universe(우주 거대구조에서 난류 및 자기장)’논문이 사이언스(Science)지에 게재되어 사업팀의 명성을 더욱 높혔다.
사업팀은 효과적인 국제수준의 연구와 교육을 위해 미국 위스콘신대학의 천문학과 대학원을 벤치마킹 대상으로 정하고, 한국의 천문우주과학 분야의 발전에 구체적으로 기여해 오면서 정부의 대형 R&D계획에 따라 천문우주산업과 관련된 연구소들에서 추진하는 국책사업(대형광학망원경사업, 남극대륙기지 건설사업, 과학위성사업 등)의 수행에 필요한 실무 및 전문 인력을 적절한 시기에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와 같은 계획이 성공적으로 추진이 된다면 충남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는 세계 17위 대학인 위스콘신대학 천문학과의 80%정도의 수준으로 도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업팀이 양성하는 전문인력은 우리나라의 차세대 천문우주과학 연구개발에 중요한 일익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 사업팀의 설명이다.
이를 위해 사업팀은 천문우주과학 연구의 중심지인 대전지역의 연구소들과 실질적인 공동 교육 및 연구를 강화하면서 현재 기획ㆍ추진되고 있는 우주 천문우주탐사사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우수전문 인력을 양성해 해당연구소에 취업시키는 것과 대형사업 추진의 주체인 연구소와 공동으로 중장기사업의 원동력인 과학임무의 개발,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연구결과의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업팀을 이끌고 있는 이수창 교수는 “천문 우주과학과 관련된 대형 프로젝트의 수행에 필수적인 연구사업의 기획, 운영, 결과 도출능력을 국제적인 수준으로 배양하기 위해 현장중심교육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과 우수한 연구성과를 창출하도록 기획ㆍ운영 되어야 한다”고 앞으로의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추진하여 21세기 우리나라 천문우주과학의 위상을 국제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자신있게 말했다.
충남대 차세대 우주탐사 연구인력양성사업팀 이수창 교수
1999년~2002년 연세대학교 자외선우주망원경연구단 연구원 및 연구교수
2002년~2004년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연구원
2004~현재 충남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 조교수, 부교수
국제 SCI 논문 등 31 편 발표/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서수여하는“우수논문상”수상/GALEX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운영에 대해 미국 NASA로부터 공로상 수상 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