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한 상황으로, 우리나라 전반에 ‘집콕’ 문화가 자리잡고 있다. 바깥활동을 줄이면서 실내 활동이 늘어나자 초고속인터넷과 IPTV, VOD 서비스 이용량이 급격히 늘고 있다. 유선 상품 신규가입을 문의하는 사람도 지난해 대비 약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고속인터넷과 인터넷티비(TV) 결합상품은 약정 기간이 만료되면 재약정을 선택하는 것보다 인터넷 신규가입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통신사를 변경해 설치하면, 현금 사은품 지원 혜택이 더 많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LG U플러스에서 단독으로만 제공하던 넷플릭스(Netflix) 서비스를 KT에서 올레TV를 통해 제공하게 되면서 올레TV 가입 문의량이 큰 폭으로 늘었다.
인터넷과 IPTV 등 유선상품 가입은 주로 온라인 인터넷비교사이트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신청 통신사나 요금제에 따라 최대 46만원의 현금 사은품 지급되며, 최근에는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어난 탓으로 분석된다.
일반 소비 유형도 전반적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다. 백화점, 마트, 대리점 등의 대면식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감소한 반면,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한편, 유선 가입자 현황조사에 따르면, 인터넷가입을 위해 비교사이트를 찾는 이유로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를 선호하는 경향도 있지만 ‘사은품’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고객센터와 비교해 평균 10만원 이상 사은품이 추가 지급되기 때문이다.
인터넷비교사이트는 SK브로드밴드(SK텔레콤), LG유플러스(LG U플러스), KT올레, LG헬로비전 등의 통신사별 인터넷/IPTV 상품과 월 청구금액, 사은품 수준 등 다양한 항목을 소비자가 직접 눈으로 비교해 가입할 수 있는 인터넷가입 경로를 의미한다.
다만, ‘경품고시제’가 지난해 6월 1일부로 시행되면서, 사은품 금액 자체의 큰 의미가 사라지는 상황이다. 경품고시제가 시행되면서 영업점은 KT, SK, LG 등 통신3사가 규정한 사은품 금액의 최소 –15%부터 최대 +15%까지만 소비자에게 지원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통해 제한을 받고 있다.
영업점이 경품고시 가이드 미만의 사은품을 지급하거나, 초과 지급하는 경우 최소 100만원 이상의 패널티부터 최대 영업정지까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영업점에서는 가이드를 무조건 준수해야 한다.
가이드 수준은 통신사 및 신청 상품(요금제)에 따라 다르지만, 현재 소비자에게 지급할 수 있는 최대 사은품 금액은 SK브로드밴드와 LG유플러스, KT올레 등 통신 3사가 최대 46만원까지(인터넷과 IPTV결합상품 기준)다.
대부분의 인터넷비교사이트가 경품고시 가이드 최대 수준의 사은품을 내걸고 영업에 나서고 있어 소비자들의 업체 선택에는 고민이 더해졌다. 현금 사은품 많이 주는 곳을 찾아 다녔던 과거와 달리, 경품고시제 시행에 따라 조건이 모두 같아졌기 때문이다.
유선 시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런 상황 속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곳은 설치 당일 현금사은품을 지급하고 있는 인터넷비교사이트다.
설치 당일 현금사은품을 지급해주는 대표적인 인터넷비교사이트는 ‘펭귄통신’이다. 현재 15만명 이상의 회원이 활동 중인 네이버 인터넷가입 공식 카페를 운영 중인 펭귄통신은 2018년도부터 설치 당일 현금사은품 지급 서비스를 시행해 호평을 받고 있다.
펭귄통신 관계자는 “당사는 고객 편의를 더하고자 오후 4시 이전 설치건은 당일 현금 지원, 오후 4시 이후 설치건은 다음날에 지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사실은 1,300건 이상의 고객 설치 후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펭귄통신에 올라온 후기에는 설치 당일 현금사은품을 지급 받았다는 내용이 뒷받침되고 있어 높은 신뢰도를 자랑한다.
또한, LG유플러스 재약정 이벤트를 통해 재가입 시에도 신규가입과 동일한 수준의 사은품을 지급하고 있다. 더불어 LG 정품 49인치 UHD TV 증정 이벤트와, ADT캡스 CCTV설치 이벤트, 설치 후기, 지인추천 이벤트 등 다양한 추가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 인터넷가입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방문이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임지훈 기자 cjs1210@hanmail.net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