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서울대학교 유전공학특화 창업보육센터는 입주기업에 대한 기술, 경영, 자금, 시설, 법률, 마케팅 등 예비창업자들의 경영상의 어려움이나 기술력의 부족한 부분을 지원하면서 입주기업의 성공을 이끌고 있다. |
신기술과 신산업의 발전은 미래를 판단하는 하나의 매개체의 역할을 하고 있다. 즉 신기술을 보유하는 국가는 선진국으로 성장할 것이고 이를 보유하지 못하는 국가는 후진국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다. 때문에 선진국들은 신산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으며, 기업들 역시 신기술의 적극적인 투자와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생명공학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발전하며 우리의 생활에 직접적인 공헌을 해왔으며 새로운 유전공학기술의 탄생은 신산업군의 창출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유전공학기술을 활용하는 생명공학은 아직까지도 미개척의 블루오션분야로 식량, 보건, 의료, 제약, 환경, 소재, 에너지 등 매우 다양한 산업에 접목이 가능한 분야이기는 하지만 다른 분야에 비해 친환경적인 부분과 뛰어난 인력이 뒷받침 되어야만 성공적인 산업 육성이 가능한 분야이기도 하다. 반면 유전공학기술에 근거한 생명공학분야는 생명체를 대상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른 분야와 비교해 산업체의 수익창출에 오랜 기간과 많은 자본의 투입이 요구된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서울대학교 유전공학특화 창업보육센터(http://bt.snu.ac.kr/홍주봉 센터장)는 유전공학기술에 근거한 생명공학산업의 기업을 보육하기 위해 설립된 곳으로 신약 개발이나 사업성이 뛰어난 생명공학 관련 분야의 사업목표를 가지고 있는 기업의 보육을 적극 지원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센터는 입주기업에 대한 기술, 경영, 자금, 시설, 법률, 마케팅 등 예비창업자들의 경영상의 어려움이나 기술력의 부족한 부분을 지원하면서 입주기업의 성공을 이끌고 있다.
센터를 이끌고 있는 홍주봉 센터장은 “창업보육센터가 위치한 환경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기업이나 예비창업자의 센터 유치는 매우 중요한 시작점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창업보육센터의 면면에 대한 정확하고 풍부한 홍보가 기업체나 예비창업자에게 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서울대학교 유전공학특화 창업보육센터는 일단 기업의 입주가 이루어지면 센터와 입주기업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성공적인 창업을 돕고 있습니다.”라고 전하며, 덧붙여“정부의 보육기업 육성책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보육기업이 보육센터로부터 졸업한 후 성장기업으로 자리하는 과정에서 많은 규제의 벽에 부딪치고, 마땅한 지원책이 잇따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 예로 신약후보물질의 확인은 다단계의 검사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시간과 자본의 투자가 반드시 있어야 하지만 성장기업의 경우에는 이를 뒷받침할 만한 준비가 되어 있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라며 이를 국가적 차원에서 해결되어야할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기본적인 보육업무의 틀을 갖추고 코스닥 상장기업을 배출하며, 졸업기업들의 성공을 뒷받침 해온 서울대학교 유전공학특화 창업보육센터는 향후 입주기업 및 졸업기업의 세계시장 진출을 위해 국제적인 보육업무를 위한 네트워크 형성과 서울대학교의 연구실과의 연계를 강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나갈 생명공학관련 기업들의 성공을 위해 보육업무를 더욱 진일보 시켜나가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보육기업들의 성공을 위해 매진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유전공학특화 창업보육센터 홍주봉 센터장 | | ■ 학력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식물학과 졸업(이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식물학과 졸업(이학석사)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대학원 식물학과 졸업(이학박사)
■ 경력 및 활동 미국 텍사스공과대학 화학과(박사후연구원)/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생물학과(박사후연구원)/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선임/책임연구원, 실장)/서울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부/유전공학연구소(조교수/부교수/정교수)/서울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장/서울대학교 유전공학특화 창업보육센터장 Journal of Plant Biology, 편집위원장/한국유전학회 총무위원회 위원장/국가과학기술위원회 바이오기술 심층평가위원/농촌진흥청겸임연구ㆍ지도관/미래국가유망기술위원회 위원/Journal of Integrative Plant Biology, editorial board member (Blackwell Publishing)/농업생명공학연구원 농업연구관 겸임(농촌진흥청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