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구 여성 생리대 발암물질·생식독성물질 검출률 100%!
상태바
해외직구 여성 생리대 발암물질·생식독성물질 검출률 100%!
  • 오운석 기자
  • 승인 2020.10.02 1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4년 이후 국내 유통된 여성 위생용품 666개 중 발암류가 전혀 검출되지 않은(불검출) 품목은 19개, 전체의 2.8%에 불과
유기농 표시된 해외직구 품목 7개 중 6개에서 벤젠 검출
다회용 면생리대의 경우 프탈레이트류·다이옥신 검출 조사대상 전체에서 검출
불검출되는 제품도 있는 만큼 식약처가 소량 검출은 안전하다고만 할 게 아니라, 위해성분 검출 제품에 대한 추적조사하고 지속적으로 공개해야
이용호 의원, 국회 정론관(사진_의원실)
이용호 의원, 국회 정론관(사진_의원실)

[시사매거진/전북] 2014년 이후 국내 시중에서 유통된 여성 위생용품(생리대, 팬티라이너 등) 가운데 해외직구 일회용 생리대 25개 품목에서 발암물질과 생식독성 물질이 모두 검출됐고, 다회용 면생리대의 경우 프탈레이트류·다이옥신 검출 조사한 8개 품목에서 모두 성분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호 의원(남원·임실·순창,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전수조사한 ‘일회용생리대 건강영향 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조사 대상 666개 품목 중 국제보건기구와 국제암센터가 분류한 발암류 물질*이 불검출된 제품은 19개로, 전체의 2.8%에 불과했다.

*발암류물질: 디클로로메탄, 헥산, 클로로포름, 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톨루엔, 테트라클로로에틸렌, 에틸벤젠, 스티렌, 자일렌

또,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이 검출된 품목은 165개(25%), 유럽 화학물질관리청에서 지정한 생식독성물질*은 639개(95.9%) 제품에서 검출되었다. 특히,‘유기농’ 표시가 된 137개 제품 중에서 20개 품목에서는 벤젠이 검출됐으며, 이 가운데 해외직구 제품 7개 중 6개(85.7%)에서 벤젠이 검출되어 국내 생산 제품보다 벤젠 검출률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1급 발암물질:로 벤젠, 트리크로로에틸렌, 생식독성물질은 스테렌, 크로로포름, 톨루엔, 헥산 등이 있다.

이와 함께 식약처가 지난해 국내 유통 중인 여성 생리용품(생리대, 팬티라이너, 탐폰) 126개 제품을 대상으로 프탈레이트류*·다이옥신류*에 대한 위해평가에서 73개의 제품에서 프탈레이트류 성분이 검출됐고, 일회용 일반 생리대 78개 제품 중 3개 제품과 다회용 면생리대 8개 제품 전체에서 다이옥신류 성분이 검출됐다.

프탈레이트류는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프탈산디뷰틸,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디메틸프탈레이트, 다이옥신류:는사염화다이옥신, 오염화다이옥신, 육염화다이옥신, 칠염화다이옥신 등이다.

이용호 의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17년 9월 생리대 위해성 평가 발표 당시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도 안전하다고 강조한 바 있고, 지난해 12월 생리용품 품질점검 결과 발표에서도 다이옥신류 위해평가 결과 인체에 위해한 수준은 아니라고 발표했지만 과연 믿고 사용해도 되는 것인지 의문”으로, "수 많은 제품 가운데 발암류와 프탈레이트류, 다이옥신류 등 인체에 위해한 성분이 검출되지 않는 제품도 있는 상황에서, 검출량이 소량이기 때문에 안심하라고만 하는 것은 국민을 기만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식약처가 생리용품의 안전성을 담보하겠다는 강한 의지가 있었다면, 연도별로 위해성 검사만 할게 아니라 위해성분이 검출된 제품별로 추적 조사하고 별도 관리 등을 통해 개선되는 사항을 지속적으로 공개했어야 했다”면서,

“국민의 알권리 차원에서라도 향후 식약처는 각종 위해성 성분이 검출된 제품에 대해서는 성분별 함량을 전수 공개하고, 특히 1급 발암물질 등 맹독성 성분이 검출된 제품에 대해서는 강력한 제재조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참고]

2014년 이후 국내 시중에 유통 중인 여성 위생용품별 발암물질 및 생식독성 검출 현황

구분

발암류

1급 발암물질

유기농 표시 제품 중 벤젠

생식독성물질

검사제품 수

불검출 수

검출 수

검출률(%)

검사제품 수

불검출 수

검출 수

검출률(%)

검사제품 수

불검출 수

검출 수

검출률(%)

검사제품 수

불검출 수

검출 수

검출률(%)

일회용 일반 생리대

441

7

434

98.4

441

381

60

13.6

66

57

9

13.6

441

15

426

96.6

일회용 팬티라이너

162

1

161

99.4

162

70

92

56.8

26

25

1

3.8

162

1

161

99.4

다회용 면성분 위생용품

38

11

27

71.1

38

34

4

10.5

38

34

4

10.5

38

11

27

71.1

해외직구

25

0

25

100.0

25

16

9

36.0

7

1

6

85.7

25

0

25

100.0

합계

666

19

647

97.1

666

501

165

24.8

137

117

20

14.6

666

27

639

95.9

* 발암류 10(세계보건기구, 국제암연구소 기준): 에틸벤젠, 스티렌, 크로로포름, 트리크로로에틸렌, 디클로메탄, 벤젠, 톨루엔, 자일렌, 헥산, 테트라크로로에틸렌

* 1급 발암물질 2(국제암연구소 기준): 벤젠, 트리크로로에틸렌

* 생식독성물질 4(EU 화학물질관리청 기준): 스테렌, 크로로포름, 톨루엔, 헥산

 

2019년말 현재 국내 유통 중인 여성 위생용품별 프탈레이트류 및 다이옥신류 검출 현황

구분

프탈레이트류 5

다이옥신류 7

검사제품 수

불검출 수

검출 수

검출률(%)

검사제품 수

불검출 수

검출 수

검출률(%)

일회용 일반 생리대

78

31

47

60.3

78

75

3

3.8

일회용 팬티라이너

22

8

14

63.6

22

22

0

0.0

일회용 팬티형 생리대

2

2

0

0.0

2

2

0

0.0

탐폰

4

3

1

25.0

4

4

0

0.0

다회용 면성분 위생용품

8

0

8

100.0

8

0

8

100.0

해외직구

12

9

3

25.0

12

12

0

0.0

합계

126

53

73

57.9

126

115

11

8.7

* 프탈레이트류 5: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프탈산디뷰틸(DBP),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DIBP), 디에틸프탈레이트(DEP), 디메틸프탈레이트(DMP)

* 다이옥신류: 사염화다이옥신(TCDD), 오염화다이옥신(PeCDD), 육염화다이옥신(HxCDD), 칠염화다이옥신(HpCDD)

오운석 기자 info1122@naver.com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