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유공자들이 보훈요양원에 입원하는 동시에 요양은 커녕 환경상 1급 피해자가 된다는 지적

[시사매거진/전북] 국가보훈처가 국가유공자 건강 및 요양을 위해 ‘전주권요양원’ 신축을 한다.
아시아뉴스통신전북취재본부에 따르면, 국가유공자의 요양을 위해 신축하는 부지가 폐기물처리시설이 집적 단지화된 위치와 근접해 오히려 건강을 해칠 것이라는 주변 시민들의 지적이 많았다고 한다.
국가보훈처에서 2018년 8월경,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 3가 921 등 8필지 14,033㎡(4,245평)를 매입해 설계를 마치고 요양원 건립을 위한 공사에 착공했다고 한다
문제는 신축될 보훈요양원 부지 인근에 ‘전주권광역쓰레기매립시설’이 위치해 있으며 매립시설은 반경 2km 이내가 환경상 피해 영향지역임에도 보훈요양원은 매립장과 655m에 위치해 1급 피해지역으로 분류된다는 점이다. 국가유공자들이 보훈요양원에 입원하는 동시에 요양은 커녕 환경상 1급 피해자가 된다는 이야기다.
더구나 전주시기 폐기물 처리를 위해 집적화 시킨 ‘전주시종합리싸이클링타운’이 400m 내에 위치하고 있어 각종 악취와 비산먼지, 소음 피해에 시달리게 될 전망이다.
1.2km 부근에 위치한 ‘전주권소각자원센터’는 전주시, 김제시, 완주군, 임실군등 4개 지방자치단체의 생활쓰레기를 소각하고 있다. 1.3km에 위치한 ‘자원순환특화단지’는 폐기물재활용시설로 10여개 업체가 폐기물 재활용사업을 병행하고 있어 악취와 대기오염으로 현재도 민원이 지속되고 있는 곳이다.
보훈요양원 건설 부지 인근 근접거리에 ‘납골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이처럼 '전주권보훈요양원' 건립부지 인근에는 각종 쓰레기시설과 납골당 등 혐오시설이 단지화되어 전주권보훈요양병원 부지로 적정한지 현지 시찰 한번이면 알 수 있는 곳으로 탁상행정의 표본을 보는 듯 하다는 인근 주민들의 비난이다.
하지만 국가보훈처에서는 요양원 부지에 대해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했으나 이상이 없었다는 답변이다. 현지 실정이 부적절한대도 환경영향 평가만 믿고 있어 공무원들의 무사안일이 놀라울 정도다. 전주권보훈요양원 현장은 도로보다 10m 이상 낮고 습기가 많은 농경지(답)이며 위치가 너무 낮아 대부분 언덕받이 양지바른 곳을 선택하는 상식적 부지 선택도 이루어지지 않은 모양새다.
전주권보훈요양원 건설 현장에는 안내 표지판과 안전수칙 표지판 하나 세워지지 않아 시공사의 안전 불감증마져 보여 보훈처의 행정 처리가 미숙하다고 밖에 평가할 수 없어 공사 중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전주권보훈요양원' 설립 현황을 보면 국가보훈처(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시행, (주)태흥이엔씨등 8개 업체가 시공하고, 부지면적은 14,033㎡에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규모는 전문요양인 200명, 주간보호자 25명으로 구성될 전망이다.
착공은 2020.06.09., 준공은 2021.11.30, 개원 2020.12월 중 으로 상근근무자 원장 포함 130 여 명이다.
이와관련 전주권광역폐기물처리시설대책위원회 및 소각장피해대책위원회는 17일 완산구 효자동에서 긴급 임원회의를 열고 '전주권보훈요양원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를 구성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한다.
이로인해 비상대책위의 반발 등 주민들과 국가보훈처간 갈등이 우려되는 상황으로 '하필 부지 선정이 이곳'이었는지 속 시원한 보훈처의 답이 나와야 할 듯 하다.
오운석 기자 info1122@naver.com
새시대 새로운 언론 시사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