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낳은 혐오의 시대를 넘어서기 위해 연대를 외치는 세계적 석학의 인문철학서 ‘타인에 대한 연민’이 출간됐다.
2020년, 지금 인류는 코로나19로 전 세계적인 팬데믹에 직면해 있다. 생활의 자유가 제한당하고 코앞의 미래가 불투명해진 사람들은 그 어느 때보다 ‘누군가’를 비난하기 바쁘다. 잘못된 행동을 바로잡고 더 나은 대안을 찾아 나서기보다 특정 인물, 교회 집단, 외국인, 성 소수자 등의 주체를 타깃으로 삼아 맹비난한다. 인터넷 세상에서도, 현실 세계에서도 ‘여혐’, ‘남혐’, ‘호모포비아’ 등 차별과 혐오 표현이 넘쳐나고 있다.
저명한 정치철학자인 저자 마사 누스바움(Martha C. Nussbaum)은 이 같은 상황은 역사적으로 자주 반복됐으며 이는 인류의 본성 때문임을 지적한다. 성별, 종교, 국적, 직업, 나이, 장애, 성적 지향 등 다양한 사회적 편 가르기의 근본에는 인간의 내밀한 감정이 배어 있다.
무력하게 태어나 불확실한 인생 앞에 설 수밖에 없는 인간이란 존재가 느끼는 두려움이란 감정이 근원이다. 이 두려움은 타인(기득권 또는 소수 집단)을 향한 혐오, 분노, 비난과 뒤섞여 타자화 전략으로 이어지고 나와 타인의 날 선 경계를 짓게 한다.
마사 누스바움은 신간 ‘타인에 대한 연민’에서 철학, 심리학, 고전을 폭넓게 아우르며 두려움과 두려움을 둘러싼 감정들의 지도를 그려낸다. 동시에 암울한 혐오의 시대를 넘어 한 걸음 나아가기 위해서, 인문학과 예술에서 희망의 실마리를 찾으려 애쓴다.
현시대를 대표하는 지성 마사 누스바움은 꾸준히 ‘정치적 감정’이라는 표현으로 인류 사회에 현미경을 들이대 왔다. 그간의 역작인 ‘혐오와 수치심’, ‘혐오에서 인류애로’의 연장선인 이 책에서는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 철학자들의 사상과 현대 심리학자들의 언어를 빌려 인간의 근본적인 감정인 두려움을 집요하게 파고든다. 미지의 생 앞에서 한없이 불안해진 개인이 어떻게 이를 타인에 대한 배제와 증오로 발산하고, 나아가 사회적 분열을 일으키는지 그 과정을 샅샅이 훑는다. 또 기존의 학자적 시선을 확장해, 이 책을 읽는 이들의 연대를 독려하고 행동하는 지식인으로서의 면모를 드러낸다.
신혜영 기자 gosisashy@sisamagazine.co.kr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