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전북] 8월 15일 광화문 집회 이후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감염자가 속출함에 따라 정부 차원의 2단계 사회적 거리 두기가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전국 소상공인들이 매출액 급감에 따른 피해를 호소하고 있지만, 소비심리를 끌어올릴 만한 뚜렷한 대책은 요원한 상태다.
소상공인들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배달 서비스, 테이블 간격 넓히기 등의 자구책으로 적극적인 매출 상승을 시도하고 있지만,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가 지속되며 영업을 포기하는 소상공인들도 속출하고 있다.
대표적인 애로로 매월 누적되는 고가의 임대료와 식자재 재고 해소에 대한 뚜렷한 방안이 마련되지 않아 직면한 1~2개월이 소상공인들에게는 지옥과도 같은 시간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기자본 비율이 약한 소상공인들이 줄줄이 도산 및 파산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에 따라 전라북도 소상공인연합회는 지난 4일,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적 거리 두기 2.5단계 격상 및 3단계 격상 예정에 앞서 소상공인들에게도 이에 따른 규제를 시행할 예정이라면 그에 따른 대비책을 먼저 마련하여 소상공인들이 코로나-19 위기에 대처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시책 수립”을 요구했다.
전북 소상공인연합회 강락현 회장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정부는 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사회적 거리 두기의 일환으로 실시한 임시휴업 등 정부의 정책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 소상공인들의 위기를 함께 인식하고, 파업과 도산으로 인한 혼란을 막기 위해서라도 실질적이고, 우선적인 지원이 발 빠르게 이뤄져야 한다”고 정부 차원의 대책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와 함께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를 통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들에게 임대료 지원 등의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피해보상 대책 마련", "상반기 실시한 소상공인 관련 정부 재난지원 대책을 보완하여 한시적으로 지원 대상의 범위확대, 지원 절차 간소화, 지급 시기 단축 등 특단의 조처", "정부의 코로나19 확산 방지정책에 위반하는 단체와 개인에게는 구상권 청구 등의 강력한 처벌" 등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낭독했다.
강락현 전북연합회장은 “소상공인들은 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정부의 방역 정책을 충실히 따르고 있지만 그 피해가 막대하여 도산과 파산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정부에서도 이런 소상공인들의 위기를 함께 인식하고 도산과 파산으로 이어지는 혼란을 막기 위해서라도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지원이 발 빠르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용찬 기자 chans0007@hanmail.net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