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호 태풍 '마이삭' 많은 비동반 제주 북상 중
상태바
제9호 태풍 '마이삭' 많은 비동반 제주 북상 중
  • 양기철 기자
  • 승인 2020.09.02 0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풍반경 약 380km, 최대풍속 시속 176km ‘강한’ 강도
제주도 재난취약지역 등 예찰 강화·협조체계 구축
제9호 태풍 '마이삭' 이동경로(제주도기상청 제공)
제9호 태풍 '마이삭' 이동경로(제주도기상청 제공)

[시사매거진/제주] 제9호 태풍 '마이삭'이 무서운 기세로 제주를 향해 북상중이여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제9호 태풍 ‘마이삭’은 1일 오후 현재 일본 오키나와 서북서쪽 약 220km 부근 해상에서 시속 16km의 속도로 북북동진하고 있다.

중심기압은 935hPa, 강풍반경은 약 380km, 최대풍속은 시속 176km(초속 49m)의 ‘강한’강도로 발달한 상태이다.

이번 태풍은 매우 강한 바람과 많은 비, 높은 파도를 동반하고 있어 해안가 저지대 및 하천변 침수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태풍 이동경로와 가까운 제주도를 중심으로 100~300mm의 비가 오고, 제주산간을 중심으로 최대 400mm이상의 매우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일 밤부터 바람이 점차 강해져 2일부터 3일 새벽 동안에 최대순간풍속 초속 30~50m의 매우 강한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해상에서는 1일 밤부터 제주도남쪽해상에 바람이 강하고 물결이 높아져, 2일부터 3일까지 새벽에 매우 강한 바람과 함께 8~12m의 매우 높은 물결이 일겠다.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은 사전에 안전한 해역으로 대피하고 양식장에서도 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각별히 대비해야 한다.

또한 해안가는 바닷물의 수위가 높은 기간(대조기)에 만조시각(2일 오전과 밤)까지 겹치면서 폭풍해일과 너울로 인해 물결이 높아지면서 방파제를 넘을 가능성이 크겠다. 해안도로 및 해안가 저지대에서는 침수피해를 입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제주특별자치도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제9호 태풍 ‘마이삭’ 북상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 분야별로 태풍 비상대응 체계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도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인명 피해 우려지역 95개소 △하천 범람 취약지역 5개소 △비닐하우스 △대형 공사장 70개소 등 강풍에 대비 결박 등의 안전조치와 해안로·포구·하천·계곡·저지대 위험지구 등을 대상으로 안전선 설치와 출입통제 등 사전점검을 완료했다.

또한, 화훼(50ha), 과수(5,692ha), 채소(210ha) 재배농가의 피해 예방을 위해 비닐하우스 밀폐 및 고정, 주변 배수로 확보, 수산증·양식시설 안전조치, 항·포구 내 어선 1,952척에 대한 결박 및 출어 현황을 점검했다.

농어업인을 대상으로 재해예방 조치사항을 안내하는 재난문자를 발송했고, 축산시설(3,446동)을 대상으로 축산분뇨 유출방지 등에 대한 지도점검도 강화하고 있다.

공공시설인 교량 126개소, 도로표지판 2,886개, 가로등·보안등 7만3,032개 등에 대한 안전점검에 이어 도로변 집수구·배수로 퇴적물을 제거 조치했다.

이와 함께 대형공사장 및 도로변 날림 우려 시설물 점검 및 17개 정수장과 8개 하수처리장의 정전사고 대비해 비상발전기 작동 여부에 대한 점검도 마쳤다.

특히, 터파기 공사장의 토류벽 안전 여부, 법면 유실 여부 등 안전관리 상태를 중점 점검하고, 비계·동바리 및 건축자재 결박, 타워크레인 등 건설장비의 안전조치를 점검했다.

제주도는 13개 헙업기능 소관부서와 유관기관 간 협조체계를 구축해 △항공기 결항 체류객 관리 △해수욕장 및 주요 시설물 관리 △대중교통 운행 등 교통상황관리 △다중이용시설 코로나19 관련 방역수칙 준수 △산사태, 축대붕괴 등 붕괴 우려가 있는 취약지역 예찰 △하천, 저류조 및 배수로에 쌓인 잡석물 제거 등 각 분야별 위험요인에 신속 대처할 방침이다.

특히, CCTV통합관제센터는 태풍 상황 발생 시 해안가·하천변·저지대 등 재해위험지역에 위치한 범죄예방 CCTV를 활용해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등 하천 범람, 침수, 강풍 피해 등에 대한 안전사고 예방에 대처하고 있다.

제9호 태풍 마이삭(MAYSAK)은 나무의 한 종류로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이다.

양기철 기자ygc9966@naver.com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