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의료 환경 열악 공공보건의료 더욱 중요 강조

[시사매거진/제주]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위원장 양영식) 소속 의원들이 기자실에서 긴급기자회견을 갖고 의료계의 집단휴진 중단을 촉구했다.
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정부는 8월 28일 오전 10시를 기하여 전공의와 전임의 대상 업무개시명령을 전국으로 확대했고 비수도권 소재 수련병원 115개소에는 제주 소재 병원인 제주대학교병원, 서귀포의료원, 제주한라병원, 한마음병원, 중앙병원, 한국병원 6개소도 포함되어 있다"며 "도내 병원의 전공의, 전임의의 신중한 판단을 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는 "의사들의 업무 중단으로 응급환자들이 사망하고 중증환자들의 치료가 지연되는 상황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 굳이 히포크라테스 선언을 인용하지 않더라도 의료인에게는 진료를 거부해서는 안 되는 고도의 윤리의식과 책임의식이 필요하다 이에 의료계는 정부와 열린 자세로 논의해야 하며, 하루 빨리 의료현장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더불어 제주특별자치도는 의료공백 가능성에 대비해 적절한 진료 대응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는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국민 모두가 공공보건의료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절실히 느낄 수 있었다. 이에 앞으로 정부의 적극적 책임 아래 경쟁력 있는 지역공공의료 기관이 확충되어야 한다"며 "제주의 경우 의료 환경이 열악한 지역인 만큼, 공공보건의료가 더욱 중요하다" 고 강조했다.
또한 "더욱이 올해 초부터 시작된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제주도민들의 ‘코로나 피로도’가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코로나19 대유행이 감지되고 있는 위중한 이 시기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은 우리 모두 합심하여 협력하는 것"이라 말하며 "이에 안전한 제주도가 될 수 있도록 대한전공의협의회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의료현장에 복귀하기를 다시 한번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밝혔다.
한편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에서는 정부의 4대 의료정책인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첩약 급여화, △비대면 진료 육성에 반대하면서, 8월 30일 무기한 파업을 결정했으며 제주지역에서도 전공의 137명 중 대부분이 대한전공의협의회가 진행중인 무기한 집단휴진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상수 기자 toyou3123@naver.com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