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집중호우 관련 농업기반시설 피해 조치상황('20.8.9.17:00)
상태바
전북도, 집중호우 관련 농업기반시설 피해 조치상황('20.8.9.17:00)
  • 오운석 기자
  • 승인 2020.08.10 05: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진안 봉암제 응급복구 현장(사진_전북도)
진안 봉암제 응급복구 현장(사진_전북도)

피해현황

피해집계 : 7개 시군 총 20개소(시군관리 18, 공사관리 2)

피해

시설

위 치

피해 시군

피해유형

조치사항

사전대피

합계

군산

정읍

남원

진안

장수

순창

고창

합계

월류

제방

유실

제당누수/

슬라이딩

합계

긴급조치

복구예정

저수지

7개 시군

20

1

1

10

1

1

5

1

20

13

5

2

20

20

-

326

안전등급 현황 : 20개소(B등급 8, C등급 9, D등급 3) / 응급복구 투입 : 장비 18, 연인원 86

 

 

조치사항

집중호우 대비 인명피해 및 안전사고 예방 철저 공문 발송(8.7, 2, 8.8 2, 8.9 2)

집중호우 피해예방을 위한 조치사항

- 주요 저수지 방류현황 : 김제 금평·장수 동화(방류없음), 완주 대아경천(1,045)

- 수리시설 가동상황 : 배수장 가동 70개소, 제수문 개방 4개소, 저수지 방류 164개소

- 비상근무 : 325(4, 시군 28, 농촌공사 293)

유형별 조치사항

- 월류 : 저수지 월류에 따른 제방유실 방지 조치 완료(방수포 설치 등)

- 제방유실 : 월류 후 제방유실로 추가 유실방지 조치 완료(방수포 설치, 여수로 트임 등)

- 제당누수/슬라이딩 : 현장상황반 상주, 비파괴탐사시험 실시 등

주요 조치 현

공사관리 진안 부귀 봉암제(누수), 장수 장수 개정제(사면 슬라이딩)

(봉암제) 하류주민 : 전기 비저항 누투탐사 통한 하류사면 안전성을 확인하여 대피 해제(8.9 16:30)

- 응급복구 상황 : 코어층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지속적 예찰활동 실시하고 이후 정밀안전진단 추진

(개정제) 하류주민 : 비상대피(8.8 12:20분경) 발령으로 4개 마을 210대피 완료,

현재 저수지 저수율이 50%정도로 40%이하가 될 때까지 비상대피 유지

- 8.10() 태풍 장미가 북상하여 영향권에 들어올 것으로 예보되어 태풍 진행상황에 따라 8.12() 귀가 조치할 수 있도록 협의 예정(장수군, 대피주민, 한국농어촌공사)

- 응급복구 상황 : 물넘이 철거, 제방 유실부 방수포 도포 등 응급복구 완료

저수지관리자(농촌공사) 현장상황반 운영(저수지별 2),

(모범사례) 완주군 분토제, 특보발령 전 민관 합동 안전조치로 저수지 월류피해 사전예방

- (8.8.16:12) 연합뉴스 보고 / 방수포 투혼 온몸으로 저수지 둑 붕괴 예방

 

금후계획 및 개선방향

체계적인 저수지 안전관리를 위한 저수지 관리 일원화 필요

- 현재 저수지는 공사관리와 시군관리로 이원화되어 있어 전문가집단인 한국농어촌공사 일원화 방안 마련 검토 필요

) 교량/터널 등 주요 SOC시설물 : 기존 재난관리법과 시설물안전법으로 이원화 되어 있는 관리체계를 시설물안전법 관리시설로 일원화(’18.1.18) - 총괄관리(한국시설안전공단)

참고 1

 

시군별 농업기반시설(저수지) 피해현황

(단위 : , m)

저수지명

위 치

저수지 재원

피해사항

조치사항

비고

유효

저수량

제당

높이

제당

길이

준공

년도

안전

등급

합 계

20개소

안전등급

(B등급 8, C등급 9, D등급 3)

· 월류(위험) : 13

· 제당유실 : 5

· 누수 및 사면슬라이딩 : 2

· 사전대피 : 326

· 장비투입 : 굴삭기 등 18

· 인력투입 : 86

 

군산시

1개소

 

 

 

 

 

 

 

 

 

안정제

대야 보덕

752-1

32

3

216

1945

C

· (일시) 8.8 10:00분경

· (내용) 월류로 인한 2차 피해

방지하고자 여수토 웨어()

부분 철거

· (사전대피) 해당없음

· (자재/장비) 백호 1, 인력 4

· (안전조치) 웨어() 철거

· (금후) 모니터링

 

정읍시

1개소

 

 

 

 

 

 

 

 

 

광산제

소성 중광 241

10.4

4.3

90

1967

B

· (일시) 8.8 14:00분경

· (내용) 제당세굴(L=14m, H=4.3m)

농경지 침수 0.18ha

· (원인) 집중호우에 의한 복통부 세굴

· (사전대피) 해당없음

· (자재/장비) 백호 2, 덤프 1

인력 13

· (안전조치) 세굴부 매립 완료

· (금후) 모니터링/항구복구

 

남원시

10개소

 

 

 

 

 

 

 

 

 

갑산제

송도 사촌 367-1

3.5

5.2

62.0

1945

C

· (일시) 8.8 07:00분경

· (내용) 제당 유실(L=10m, H=5m)

농경지(2ha) 및 축사(0.1ha)침수

· (원인) 집중호우에 의한 제당 월류

· (사전대피) 해당없음

· (자재/장비) 백호 등 2, 인력 2

· (안전조치) 물길 설치 등

응급복구 완료

· (금후) 모니터링/항구복구

 

지사제

송도 흑송 15-2

2.8

2.7

86.0

1940

C

· (일시) 8.8 08:00분경

· (내용) 제당 유실(L=20m, H=2.5m)

· (원인) 집중호우에 의한 제당 월류

· (사전대피) 해당없음

· (자재/장비) 백호 등 2, 인력 2

· (안전조치) 응급복구 완료

· (금후) 모니터링/항구복구

 

은송제

주천 은송 323

16.4

8.7

76.0

1970

C

· (일시) 8.8 10:00분경

· (내용)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

제당 월류 위험

· (사전대피) 해당없음

· (자재/장비) 인력 2

· (안전조치) 접근금지 차단선 설치

· (금후) 모니터링/항구복구

 

수동제

사매 계수 89

18.9

9.0

118.0

1942

D

· (일시) 8.8 11:00분경

· (내용) 제당 유실(L=15m, H=5.0m)

· (원인)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

제당 월류

· (사전대피) 해당없음

· (자재/장비) 백호 등 2, 인력 2

· (안전조치) 응급복구 완료

· (금후) 모니터링/항구복구

 

성락제

보절 성시

956-1

5.7

5.6

90

1944

C

· (일시) 8.8 10:00분경

· (내용) 제당 유실(L=15m, H=5.0m)

· (원인) 집중호우에 의한 제당 월류

· (사전대피) 농가(4) 대피 완료

· (자재/장비) 인력 2

· (안전조치) 접근금지 차단선 설치

· (금후) 모니터링/항구복구

 

왕 제

주생 낙동 44-1

38.6

5.5

122.0

1940

C

· (일시) 8.8 10:00분경

· (내용) 제당 유실(L=20m, H=5.0m)

· (원인) 집중호우에 의한 제당 월류

· (사전대피) 해당없음

· (자재/장비) 백호 등 2, 인력 2

· (안전조치) 제당 응급복구 완료

· (금후) 모니터링/항구복구

 

용궁1

주천 용궁 20

18.7

7.2

85.0

1970

D

· (일시) 8.8 11:00분경

· (내용) 제당 유실(L=15m, H=5.0m)

· (원인) 집중호우에 의한 제당 월류

· (사전대피) 해당없음

· (자재/장비) 백호 등 2, 인력 2

· (안전조치) 응급복구 완료

· (금후) 모니터링/항구복구

 

덕산제

운봉 산덕 산1-2

15.6

3.0

140.0

1965

C

· (일시) 8.8 10:00분경

· (내용) 집중호우에 의한

제당 월류 위험

· (사전대피) 해당없음

· (자재/장비) 인력 2

· (안전조치) 접근금지 차단선 설치

수문 개방

· (금후) 모니터링/항구복구

 

오산제

아영 월산 800-2

14.0

4.0

26.0

1945

D

· (일시) 8.8 10:00분경

· (내용) 집중호우에 의한

제당 월류 위험

· (사전대피) 농가(4) 대피 완료

· (자재/장비) 인력 2

· (안전조치) 접근금지 차단선 설치

수문 개방

· (금후) 모니터링/항구복구

 

송강제

대강 송대 527-4

21.8

8.1

77.0

1940

C

· (일시) 8.8 10:00분경

· (내용) 집중호우에 의한

제당 월류 위험

· (사전대피) 해당없음

· (자재/장비) 인력 2

· (안전조치) 접근금지 차단선 설치

· (금후) 모니터링/항구복구

 

저수지명

위 치

저수지 재원

피해사항

조치사항

비고

유효

저수량

제당

높이

제당

길이

준공

년도

안전

등급

진안군

1개소

 

 

 

 

 

 

 

 

 

봉암제

부귀 봉암

513

219

15

116

1960

B

· (일시) 8.8 09:30분경

· (내용) 제당 누수발생(100mm)

· (사전대피) 6개 마을 181

- 대피방송/재난문자(1)

- 대응반 현장투입(15)

- 상황보고(, 농식품부)

· (금후) 모니터링/항구복구

농촌공사

관리

장수군

1개소

 

 

 

 

 

 

 

 

 

개정제

장수 개정 114

250.5

21.2

176.5

1958

B

· (일시) 8.8 12:20분경

· (내용) 제당 하류사면

슬라이딩 발생

- (L=100m, H=21.0m)

· (사전대피) 4개 마을 210여명

- 대피방송/재난문자(1)

- 장수 한누리당 대피중

- 대응반 현장투입

(, 경찰 공사 20)

- 백호 및 양수기 2

· 상황보고(, 농식품부)

· (현재상황)

- 긴급복구 장비 대기

- ) 슬라이딩 진행중으로

접근 불가

농촌공사

관리

순창군

5개소

 

 

 

 

 

 

 

 

 

치등제

금과 청용

666-2

23

10

85

1945

B

· (일시) 8.8 07시경

· (내용) 저수지 제당붕괴

- H=10m/L=10m, 농경지매몰 0.27ha

· (원인) 집중호우에 의한 제당 월류

· (사전대피) 해당없음

· (자재/장비) 인력 2

· (안전조치) 차단선 설치

 

연화제

금과 내동

267

94

8

220

1945

B

· (일시) 8.8 07시경

· (내용) 저수지 제당붕괴

- H=8m/L=20m, 농경지매몰 0.27ha

· (원인) 집중호우에 의한 제당 유실

· (사전대피) 해당없음

· (자재/장비) 인력 2

· (안전조치) 차단선 설치

 

내동제

금과 내동

211-3

20

12

110

1945

B

· (일시) 8.8 07시경

· (내용) 저수지 제당붕괴

- H=12m,/L=10m, 농경지매몰 0.69ha

· (원인) 연화제 붕괴로 제당 월류

· (사전대피) 해당없음

· (자재/장비) 장비 2, 인력 2

- 추가 피해방지 여수토 철거

· (안전조치) 차단선 설치

 

신촌제

순창 백산

150

14

6

79

1928

B

· (일시) 8.8 07시경

· (내용) 저수지 제당붕괴

- H=6m,/L=10m, 농경지매몰 0.17ha

· (원인) 집중호우에 의한 제당 유실

· (사전대피) 해당없음

· (응급복구) 인력 2

· (안전조치) 차단선 설치

 

 

내촌제

동계 수정 46-10

10

9

65

1968

B

· (일시) 8.8 07시경

· (내용) 저수지 제당붕괴(H=9m, L=30m)

· (원인) 집중호우에 의한 제당 유실

· (사전대피) 해당없음

· (자재/장비) 인력 6

· (안전조치) 접근금지 차단선 설치

방수 덮개 설치

 

고창군

1개소

 

 

 

 

 

 

 

 

 

고산제

성송 무송

464-2

3

2

67

1975

C

· (일시) 8.8 9시경

· (내용) 저수지 제당붕괴

- H=6m,/L=10m, 농경지침수 0.5ha

· (원인) 집중호우에 의한 제당 유실

· (사전대피) 해당없음

· (응급복구) 해당없음

· (안전조치) 차단선 설치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