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민형배 의원(광주 광산구을), 팝펀딩 대출채권 펀드 63% 이미 환매중단
상태바
더민주 민형배 의원(광주 광산구을), 팝펀딩 대출채권 펀드 63% 이미 환매중단
  • 송상교 기자
  • 승인 2020.07.14 21: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팝펀딩 연계 사모펀드 전체 설정액 1,668억 중 63% 환매중단
- 전체 고객 10명 중 4명은 60대 이상 고령의 일반 투자자
- 민형배 “사모펀드 환매중단 계속해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금융당국 철저한 관리감독 필요”
민형배 국회의원(광주광억시 광산구을)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말 기준 각 운용사가 집계한 팝펀딩과 연계된 사모펀드 설정액은 총 1,668억원이었고, 이 중 63%에 달하는 1,059억원이 환매 중단된 것으로 집계됐다.사진은 민형배 국회의원(광주광억시 광산구을)이다.(사진_민형배 국회의원 의원실)
민형배 국회의원(광주광역시 광산구을)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말 기준 각 운용사가 집계한 팝펀딩과 연계된 사모펀드 설정액은 총 1,668억원이었고, 이 중 63%에 달하는 1,059억원이 환매 중단된 것으로 집계됐다.사진은 민형배 국회의원(광주광역시 광산구을)이다.(사진_민형배 국회의원 의원실)

[시사매거진/광주전남=송상교 기자] 개인 간 거래(P2P) 대출사 ‘팝펀딩’ 연계 사모펀드의 전체 설정액 1,668억(5월 31일 기준, 운용사 취합 기준) 중 환매가 중단된 규모가 1,05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라임자산운용, 옵티머스자산운용의 환매 중단으로 드러난 부실한 사모펀드 운용에 대한 금융당국의 철저한 관리 감독이 요구된다. 

민형배 국회의원(광주광역시 광산구을)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말 기준 각 운용사가 집계한 팝펀딩과 연계된 사모펀드 설정액은 총 1,668억원이었고, 이 중 63%에 달하는 1,059억원이 환매 중단된 것으로 집계됐다.

P2P 업체인 팝펀딩이 실행한 대출에 투자했다가 연체가 생기면서 자금을 돌려받지 못해 환매가 중단된 것이다. 

운용사별로 살펴보면 자비스 자산운용의 설정액 630억원이 전액 환매중단됐고, 헤이스팅스 자산운용은 340억 중 240억, 코리아에셋 449억 중 140억, JB 자산운용이 49억 전액 환매중단됐다. 옵티멈 자산운용은 200억이 설정되어있으나 아직 환매중단은 일어나지 않았다.[표1참고]

[표1]팝펀딩 대출채권 펀드 운용사별 판매현황(20.05.31기준, 운용사 취합)

운용사

설정액(억원, A)

팝펀딩

개인

법인

 

순자산

환매중단액*

대출채권

자비스

630

638

630

591

92

3

헤이스팅스

340

323

240

340

230

2

옵티멈

200

201

0

162

1

1

JB

49

49

49

49

19

2

코리아에셋

449

444

140

321

97

11

합계

1,668

1,655

1,059

1,463

439

19

* 환매중단액 : 설정액(A) 전체에서 5.31일 기준 환매 중단된 금액. 환매중단되지 않은 금액도 곧 환매중단 가능성 높다고 볼 수 있음.

6월 23일 기준으로 집계된 증권사(펀드 판매사)별 판매현황을 보면, IBK 투자증권 485억원, 한국투자증권 396억원, 신한금융투자 395억원 순으로 판매됐다. 총 판매액 1,437억원 중 일반 투자자에게 567억, 전문투자자에게 864억이 판매됐으며, 일반투자자는 개인이 절대다수(554억, 97.6%, 판매액 기준) 였다.[표2참고]

[표2]팝펀딩 대출채권 펀드 판매사별 판매현황(20.06.23기준, 증권사 취합)

판매사명

판매금액(억원, 설정액 기준)

일반투자자

전문투자자

합계

개인

법인

소계

개인

법인

소계

한국투자증권

379

7

385

11

0

11

396

한화투자증권

61

-

61

-

-

-

61

IBK

투자증권

-

- 

- 

- 

485

485

485

NH투자증권

-

-

-

5.0

-

-

5.0

하나금융투자

90.9

3.4

94.8

0.0

0.0

0.0

95.0

신한금융투자

23.1

3.5

26.6

0.0

368.8

368.8

395.4

합계

554

13.9

567.4

16

853.8

864.8

1437.4

판매 증권사들이 집계한 개인 고객의 연령별 판매현황을 보면, 팝펀딩 연계 사모펀드의 개인 투자자 계좌 385개 중 은퇴를 앞둔 50대 계좌가 138개(35.8%)로 가장 많았고, 60대(23.6%), 40대(15.5%) 순이었다. 70대 이상의 노인에게 판매한 경우도 17.6%로 나타났다. 설정액 기준으로 보면, 일반투자자의 경우 50대가 194.3억, 60대가 142.8억, 70대가 92.1억 순으로 나타났다. 60대 이상 일반투자자의 설정액이 전체 개인투자자 설정액의 40%를 차지했다.[표3참고]

[표3]팝펀딩 대출채권 펀드 개인고객 연령별 판매현황(20.06.23기준, 증권사 취합)

개인 투자자

연령

(판매일기준)

개인 투자자 계좌수

개인 투자자 금액

(억원,설정액기준)

일반투자자

전문투자자

합계

일반투자자

전문투자자

합계

20

9.0

-

9.0

9.0

-

9.0

30

20.0

-

20.0

25.1

-

25.1

40

59.0

1.0

59.0

90.0

0.8

90.9

50

135.0

3.0

138.0

189.5

4.8

194.3

60

87.0

4.0

91.0

132.9

9.9

142.8

70

55.0

1.0

56.0

91.1

1.0

92.1

80

12.0

-

12.0

16.9

-

16.9

소계

377

9

385

554.5

16.5

571.1

자료를 분석한 민형배 의원은 “고령의 일반 투자자들은 정보 접근성이 부족할 수 있는데, 금융투자상품 위험등급이 1~2등급인 펀드가 많이 판매된 것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실제로 헤이스팅스, 자비스자산운용 등 운용사들이 P2P 업체에 투자하는 사모펀드를 안전자산 인양 둔갑해 팔았다는 피해자들의 주장도 나오고 있다. 

민형배 의원은 “사모펀드 환매 중단사태가 향후 계속해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금융당국의 면밀한 관리감독이 요구된다”며 “7월 국회에서 사모펀드 규제, 감독계획 등의 미비점에 대해 살펴보고 대책마련을 촉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