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 임지훈 기자]몸캠피싱은 갈수록 수법들이 교묘해지고 지능적으로 발전하고 있어 빠른 속도로 발생건수가 늘어나고 있다. 현재 청소년들도 피해를 입고 있어 사회적인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근래에 발생하는 사례들을 살펴보면 점조직화와 네트워크화를 이루고 있는데, 중국에서 활동하는 조직과 국내에서 활동하는 조직이 결탁하는 사례들도 다수 포착되고 있다.
국내조직들은 대포통장, 현금인출, 중국인출 등 피해자를 협박해 얻어낸 돈을 중국으로 송금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중국조직들은 유인책이나 인출책 등 범죄행위로 생계를 유지하는 직업형 범죄자들을 모집해 국내로 보내고 있다.
총책은 중국 등을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국내의 수사망을 피하고자 ‘대포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타국의 채팅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 조직원에게 지시를 내리고 있다. 이 때문에 타국 수사기관과 협조가 필요하다.
몸캠피씽은 인터넷 협박, 핸드폰 해킹, 영상물 유포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피해자를 협박해 금품을 요구하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가운데, IT보안회사 ‘제로데이’가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막기 위해 예방법과 해결방법들을 알려왔다.
관계자는 “인터넷 협박 및 핸드폰 해킹 등의 수법들이 동원된 몸캠피씽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익명의 상대방이 보낸 파일이나 신뢰할 수 없는 곳에서 받게 되는 파일을 주의해야 한다.”라며 “범죄조직의 협박에 응해도 지속적으로 돈을 요구하기 때문에 협박에 응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몸캠피씽 피해를 입었을 때는 즉각적으로 보안업체를 찾아 해결을 준비해야 한다.”라며 “영상물이 온라인을 통해 유포될 경우 유포의 속도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르기 때문에 반드시 신속히 업체를 찾는 것이 좋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