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는 1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개원 협상은 국회의장단뿐만 아니라 상임위원장 배분까지 다 끝난 이후에 해왔던 것이 지금까지의 관례"라면서 "민주당이 야당일 때부터 지금까지 늘 그렇게 해왔다"고 주장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날 원구성 협상과 관련해 "지난 금요일 저녁에 양당 원내대표와 원내수석부대표 네 사람이 두 시간 넘게 저녁을 하면서 원구성에 관한 협상을 했다"면서 "양당의 입장이 어느 정도 분명히 드러났다"고 밝혔다.
이어 "저희들은 의원 비율에 따라서 18개 상임위를 11:7 비율로 나눠서 상임위원장을 선출해야 한다고 이야기했고, 그 점에 관해서 민주당에서는 강하게 반박이 없었다"면서 "11:7 비율은 어느 정도 받아들이는 걸로 그렇게 판단을 했다."고 설명했다.
또 "법사위와 예결위는 지금까지 이어져오던 관례라든지, 삼권분립의 원리에 따라서 국회가 행정부를 견제하는 것이 가장 큰 역할이고, 그것을 야당이 맡았을 때 실질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지금까지 민주당이 야당일 때, 혹은 저희들이 야당일 때 법사위와 예결위는 꼭 야당이 위원장을 맡았다는 점 등을 내세워서 저희들이 맡아야 한다고 요구를 했다"면서 "민주당으로서는 ‘법사위와 예결위를 내줄 수가 없다’, ‘지금은 177석으로써 168석이 넘으면 전 상임위를 모두 민주당이 다수이기 때문에 기존과는 다르다’는 주장을 펴면서 전 상임위를 다 가지고 갈 수 있다는 말씀은 하지 않으면서 법사위, 예결위는 내줄 수 없다고 그렇게 주장을 했다"고 강변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에서 "‘법에 규정된 6월 5일 개원일을 지켜 달라’고 요구했고, 합의되지 않으면 일방적으로 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주 원내대표는 "개원 협상은 국회의장단뿐만 아니라 상임위원장 배분까지 다 끝난 이후에 해왔던 것이 지금까지의 관례였기 때문에 의장만 먼저 선출하는 일방적인 국회는 동의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면서 "저희들은 원구성에 관한 전체가 일괄 타결이 된 다음에야 첫 회의를 열어서 의장단을 선출하겠다고 알렸고, 이것은 민주당이 야당일 때부터 지금까지 늘 그렇게 해왔다"고 설명했다.
또 "민주당이 국회법을 내세워서 법대로 하자고 주장하는 것은 다수의 힘으로, 소위 인해전술로써 일방적으로 하겠다는 그런 의사를 비춘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면서 "그렇다면 ‘상생과 협치는 입으로만 외치는 구두선이 아니었는가’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가적으로 위기에 상생, 협치로 국정 과제를 하나하나 신속히 처리해도 부족할 판에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면 그 책임은 전적으로 민주당에 있고, 그 후유증은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간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