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1함대사령부, 지역업체 우선 계약금액 확대로 지역경제 살리기 힘 보태
상태바
해군 1함대사령부, 지역업체 우선 계약금액 확대로 지역경제 살리기 힘 보태
  • 송상교 기자
  • 승인 2020.05.26 08: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해시 소재 업체 한정계약 금액 2배 확대해 연 65여억 원 계약 예상
해군 1함대사령부는 “5월 25일 동해상공회의소에서 ‘코로나19’로 침체한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동해시 소재 업체 한정계약 금액을 확대하는 내용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사진은 해군 1함대 재정관리실장(김지훈 중령)이 5월 25일 오후 동해상공회의소 회의실에서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1함대의 동해시 소재 업체 한정계약 금액 확대 내용에 대해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사진_해군1함대사령부)
해군 1함대사령부는 “5월 25일 동해상공회의소에서 ‘코로나19’로 침체한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동해시 소재 업체 한정계약 금액을 확대하는 내용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사진은 해군 1함대 재정관리실장(김지훈 중령)이 5월 25일 오후 동해상공회의소 회의실에서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1함대의 동해시 소재 업체 한정계약 금액 확대 내용에 대해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사진_해군1함대사령부)

[시사매거진/광주전남=송상교 기자] 해군 1함대사령부(사령관 소장 최성목)는 “5월 25일 동해상공회의소에서 ‘코로나19’로 침체한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동해시 소재 업체 한정계약 금액을 확대하는 내용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에는 동해시 및 동해상공회의소, 동해시 일반건설협회, 동해시 전문건설협회, 북평산업공단 협의회 등 유관단체 관계관들이 참석했다. 

해군1함대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지역경제가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한층 더 힘을 싣고자 지역업체 우선 계약제도 기준금액을 5월 25일부터 올해 말까지 한시적으로 한 차례 더 확대해 시행하기로 했다. 

물품 제조ㆍ구매 및 용역계약은 기준 금액을 5,500만원에서 1억 1천만원으로, 공사 분야에서는 일반공사는 2.2억원에서 4.4억원으로, 전문공사는 1.1억원에서 2.2억원으로, 기타공사는 0.88억원에서 1.76원으로 기준금액을 2배 상향했다. 

해군1함대 장병 및 군무원들의 급여와 예산 규모를 고려하면, 이번 조치로 올 한해 동해시에 대한 1함대의 경제 기여도는 약 56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군1함대사령부 재정관리실장 김지훈 중령은 “‘코로나19’의 장기화 상황에서 이번 제도가 동해시의 얼어붙은 지역경제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이번 조치가 경제분야에 있어 민ㆍ관ㆍ군 상생 모델로 발전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해군1함대는 민ㆍ관ㆍ군 상생협력을 위해 지난해 9월부터 지역제한 발주 제도를 적용해 오고 있다. 

<지역제한 계약추진 기준금액>

1차 시행(최초 / 20199)

- 공사 : 일반공사 2.2억원 이하, 전문공사 1.1억원 이하, 기타공사 0.88억원 이하

- 물품 제조ㆍ구매, 용역 계약 : 0.22억원 이하

2차 시행(확대 / 20203)

- 공사 : 일반공사 2.2억원 이하, 전문공사 1.1억원 이하, 기타공사 0.88억원 이하

- 물품 제조ㆍ구매, 용역 계약 : 0.55억원 이하

3차 시행(확대 / 20205)

- 공사 : 일반공사 4.4억원 이하, 전문공사 2.2억원 이하, 기타공사 1.76억원 이하

- 물품 제조ㆍ구매, 용역 계약 : 1.1억원 이하

지역제한 발주 제도는 일정 금액 이하 계약일 경우 그 대상을 오직 동해시 지역업체로만 제한시켜 동해시 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해군1함대는 이밖에도 전통시장 및 지역 상점가의 수요 진작과 자영업자 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강원상품권 및 온누리상품권을 부대 차원에서 구매하고 있으며, 매주 수요일 부대 간부식당을 운영하지 않고 지역 식당에서 간부들이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앞으로도 1함대는 동해시와 유기적으로 협조하여 지역경제를 살리고 지역사회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발굴해 시행할 계획이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