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전국위원회,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가결
상태바
미래통합당 전국위원회,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가결
  • 박희윤 기자
  • 승인 2020.04.28 17: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심재철 미래통합당 당대표 권한대행이 28일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열린 미래통합당 제1차 전국위원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_뉴시스)
심재철 미래통합당 당대표 권한대행이 28일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열린 미래통합당 제1차 전국위원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_뉴시스)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미래통합당은 28일 여의도 63빌딩에서 전국위원회를 개최하고 재적위원 639명 중 323명이 참석한 가운데 찬성 177명, 반대 80명의 투표 결과로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임명안을 가결했다. 

심재철 당 대표 권한대행이 이날 전국위를 통과한 임명안을 결재하면 통합당은 김종인 비대위 체제로 전환한다.

통합당은 이에 앞서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어 당헌 개정안을 발의, 이를 전국위에서 의결하려 했다. 하지만 정원 45명 중 과반에 못 미치는 17명만 참석해 상임전국위 자체가 불발됐다.

당헌 개정안은 비대위가 출범할 경우 오는 8월 31일 전당대회를 열도록 한 경과규정을 적용하지 않는 내용을 담았다. 즉 김종인 비대위 체제를 상정해 비대위원장의 임기 제한을 없애겠다는 취지다.

통합당은 지난 2월 자유한국당과 새로운보수당 등이 합쳐 출범하면서 차기 전대를 8월 31일까지 열어 새 지도부를 꾸리는 경과규정을 당헌 부칙에 규정했다. 이날 당헌 개정 무산으로 경과규정은 일단 유효하게 됐다.

당헌 개정이 이뤄지지 않은 탓에 비대위가 당장 출범하더라도 임기는 약 4개월에 그친다.

심 권한대행은 전국위가 비공개로 전환되기 전 "이 당헌 개정은 새로운 비대위원장이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전국위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김 위원장에게 투표 내용을 다시 말하고, 비대위원장을 수락해달라 요청할 생각"이라며 "수락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종인 측 최명길 전 의원은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에서 "김종인 대표는 오늘 통합당 전국위에서 이뤄진 결정을 비대위원장 추대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따라서 김 위원장이 이날 전국위 의결 결과에 대해 최종 수락 여부가 관심이다.

조경태 최고위원과 조해진 국회의원 당선인 등은 이날 전국위에서 비대위 전환에 반발했다.

조 최고위원은 "무제한 임기와 전권을 달라는 김종인 전 선거대책위원장이 8월 31일로 하는 데 대해 확실히 수용했는지가 빠진 상태에서 억지로 밟았다"고 주장했다.

조 당선인도 "김 전 위원장이 지금까지 말해온 것으로 볼 때 거부할 가능성이 큰 것 아닌가"라며 "자기 임기를 자기가 늘리는 것도 모양이 이상하다"고 지적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