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임지훈 기자]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었지만 아직 외출을 꺼리는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집에서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늘며 이를 틈타 사이버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특히 영상통화로 음란한 행위를 하도록 유도해 촬영하고, 유포한다고 협박해 돈을 뜯어내는 이른바 몸캠피싱 수법의 공격 시도 빈도가 크게 늘었다. ‘몸캠피씽’은 스마트폰 채팅앱이나 SNS 등 온라인 공간에서 최근 성행하고 있다.
범죄 일당은 피해대상의 스마트폰을 해킹하거나, SNS를 이용해 피해자 지인들의 연락처를 알아내고, 원하는 수준의 돈을 보내지 않으면 유포하겠다고 협박한다. 이렇게 몸캠피싱은 지인들에게 유포할 것을 빌미삼기 때문에 한번 당하면 금전적 피해는 물론, 큰 수준의 정신적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인터넷 보안회사 시큐어앱 임한빈 대표는 “이와 같은 수법이 최근 매우 기승을 부리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만약 당했다면 협박범에게 절대 돈을 건네선 안되고, 유포 경로를 차단하는 등 원천적으로 사건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수법은 가까운 이들에게 영상이 유포될 수 있다는 범죄 특성상 초기에 신속한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시큐어앱은 IT전문가로 구성된 전담팀을 꾸려 동영상 피싱, 영상통화 피싱24시간 대응센터를 운영하여 어느 시간대에 피해가 발생해도 즉각적인 대응을 펼치며 피해 확산을 막고 있다.
임한빈 대표는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영상통화 피씽 등의 피해자가 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며 “대인관계나 사회생활에 지장이 생길 것을 염려해 신고를 꺼리는 특성까지 고려했을 때 실제 피해자는 집계된 결과보다 많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임대표는 “만약 이러한 범죄에 당하고 있다면 혼자 전전긍긍하며 협박범에 대응하기보다는 전문적인 조력을 통해 범죄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는 것이 현명하다”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시큐어앱은 모바일 악성 앱 분석, 모바일 진단 및 복구, 사이버범죄 수집 및 차단 등 포괄적인 모바일 보안 서비스를 진행하며 사이버 범죄의 피해자들을 돕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