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임지훈 기자] 모바일 메신저 시장의 점유율은 2010년 중반에 서비스를 시작한 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수 많은 앱들이 출시됐음에도 일부 소수의 앱들이 순위를 고수하고 있는 이유는 이용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본연의 기능 외에도 영상통화나 음성 메시지, 위치 및 일정 공유 등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해 상대방과 소통할 수 있으며, 다수의 플랫폼들과 제휴 및 연동을 시작해 각종 서비스들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PC나 노트북에서 사용이 가능해진 이후로는 업무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메신저는 범죄의 위협도 존재하기 때문에 주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국내의 메신저 상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는 범죄의 대표적인 예로 몸캠피싱(동영상 대응, 사기, 유포, 피씽, 협박)을 들 수 있다.
범죄자가 여성으로 위장하여 남성에게 접근한 뒤 지속적으로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는 ‘몸캠’을 녹화하기 위한 사전작업이며, 악성코드를 휴대폰에 설치하도록 만들어 개인정보들도 함께 확보한다.
영상과 연락처를 확보한 범죄자들은 협박의 소재로 활용해 돈을 요구해오는데, 영상과 연락처가협박의 매개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를 삭제해야 비로소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다. 삭제작업은 전문적인 기술을 필요로 해 도움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가운데, IT 보안회사 ‘팀카시아’에서는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몸캠피싱 피해자가 처한 상황들을 타개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철저한 상담을 통해 피해자가 사용 중인 운영체제나 피의자들의 범행 패턴 등을 분석한 이후에 24가지에 달하는 몸캠피씽 특화 기술을 활용하기 때문에 맞춤형 솔루션으로 진행되어 피해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삭제작업을 완료한 이후에도 피해자에게 실시간 모니터링을 작업을 제공한다. 유포 시도를 사전에 차단하고 있으며, 만일 유포가 감행되었더라도 즉각적으로 조치하고 있다.
한편 팀카시아 IT 1팀 김태원 팀장은 “수법들이 점차 교묘해지고 집요해져 피해자의 숫자가 늘어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라며 “당사는 상담센터를 구축해 24시간 연중무휴로 카톡 영상 피싱, 해킹, 협박 등 맞춤상담을 제공 중에 있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