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대통령 고교단짝 정화삼 씨 체포, 정대근 前 농협 회장 측에 50억 전달 포착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교 동기(53회)인 정화삼(62) 제피로스 골프장 대표를 체포해 조사하고 있는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부장 박용석)는 정씨와 정씨의 동생 정광용 씨가 세종증권(현 NH증권) 매각 과정에서 20여억 원을 받은 정황을 잡고 23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은 자금추적 결과 지난 2006년 초 세종증권이 홍기옥 세종캐피탈 사장에게 성과급으로 지급한 29억여 원이 로비자금 명목으로 정씨 형제에게 전달된 단서를 포착했다. 앞서 검찰은 전날 세종증권 매각과정에서 정대근(64·수감중) 당시 농협중앙회 회장에게 50억 원의 뇌물을 제공한 혐의(뇌물공여 등)로 세종증권 대주주였던 세종캐피탈 홍기옥 사장을 구속했다. 검찰은 이와 함께 태광실업 박연차 회장이 세종증권 매각 과정에서 차명계좌를 이용한 주식거래로 100억 원 이상 시세차익을 남긴 단서를 잡고 수사하고 있다.
검찰에 따르면 홍 사장은 2006년 초 정 회장과 정화삼씨에게 “농협이 세종증권을 인수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가격도 높게 쳐달라”는 청탁과 함께 수십억 원을 건넨 혐의를 받고 있다. 정화삼씨는 지난 7월 제주도 제피로스 골프장의 실소유주인 정홍희(53) 로드랜드 대표의 횡령 사건을 수사하는 과정에 정 대표의 로비창구로 지목돼 수사선상에 오른 바 있다. 정씨는 이 사건으로 서울중앙지검의 수사를 받았지만 사법처리 되지는 않았다. 국세청은 이 과정에 정홍희 씨 소유의 언론사 <스포츠서울 21>, 건설사 로드랜드, 덕일 등도 샅샅이 조사했었다. 정홍희 씨는 현재 골프장 3개, 건설사 4개, 언론사 1개를 소유 중인 건설 갑부로, 참여정권 부동산 호황 때 재산을 크게 불린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한편 정화삼씨는 지난 2003년 7월 ‘양길승 대통령비서실 제1부속실장 청주 나이트클럽 향응사건’ 당시 술자리에 동석해 이듬해 노 전 대통령 측근 비리 특별검사 때 조사를 받았을 뿐 아니라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과 함께 노 전 대통령의 후원자로 알려진 인물이다. 청주상공회의소 부회장도 역임한 그는 2004년 열린우리당 충북도당 고문도 지내기도 했다.
‘세종증권 매각비리’ 수사 급물살…참여정부 실세 연루 의혹
검찰이 세종증권 매각비리와 관련해 노 전 대통령의 또 다른 핵심 측근들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검찰은 농협이 세종증권을 인수한 시점을 전후해 참여정부의 핵심측근들이 세종증권 주식을 차명으로 사고팔아 막대한 차익을 거뒀다는 첩보도 입수해 사실 관계를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농협은 2006년 1월 세종캐피탈이 보유한 세종증권 주식 1,160만 여주를 주당 8,910원씩, 1,039억 원에 사들였으며 인수 당시 농협이 세종증권을 너무 비싼 가격에 사들였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이를 두고 세종캐피탈이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 정·관계 로비를 벌인 것 아니냐는 의혹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검찰은 세종증권을 비싼 값에 매각하기위해 로비가 진행됐고 이 과정에서 측근들에게 인수정보를 흘려줬을 수 있다는 수사 밑그림을 그리고 있는 걸로 전해졌다.
한편 검찰은 50억 원 외에도 홍기옥 사장이 수십억 원을 추가로 누군가에게 전달한 단서를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홍 사장으로부터 뇌물을 건네받은 단서가 포착된 농협 관계자들을 상대로 금품 수수 여부와 홍 사장으로부터 건네받은 금품을 어디에 썼는지 등을 조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검찰은 21일 오전 증권거래법 위반 혐의로 체포해 조사했던 김형진(50) 세종캐피탈 회장을 석방했다. 검찰은 김 회장이 2005~2006년 제조업체인 H사의 주가를 조작한 혐의를 포착, 세종캐피탈 사무실을 압수수색 하고 김 회장과 홍 사장을 체포했으며, 이 과정에서 세종증권 매각 비리 단서를 찾아낸 것으로 전해졌다. 김 회장은 1999년 부도 위기에 몰렸던 동아증권을 인수해 세종증권으로 이름을 바꾼 뒤 2006년 1월 농협에 매각했다. 2005년 초 13개 중소형 증권사에 인수의향서를 보낸 농협은 같은 해 6월 세종증권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농협이 2006년 초 2,000원대이던 세종증권 주식을 주당 8,900원(총액 1,100여억 원)에 사자 비판 여론이 일기도 했다. 당시 농협 회장이던 정대근 씨는 서울 양재동의 농협 하나로마트 터를 파는 과정에서 현대차그룹으로부터 3억 원을 받은 혐의(특정범죄 가중처벌법의 뇌물)로 징역 5년이 확정돼 수감 중이다.
박연차 회장 ‘차명거래 시세차익’ 인정…檢, 미공개정보 이용 규명 집중
검찰이 수사 중인 ‘세종증권(현 NH증권) 매각비리’와 관련해 盧 前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태광실업 박연차(62) 회장이 세종증권 주식거래를 통해 100억 원 이상 시세차익을 남긴 것으로 지난 11월 23일 확인돼 논란이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세종증권은 2006년 1월 농협에 매각되는 과정에서 주가가 10배 이상 뛰어올라 회사측이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 정·관계에 로비했다는 의혹과 함께 박 회장 등 참여정부 실세들이 내부정보를 이용해 차익을 얻었다는 의혹이 제기돼 왔었다. 이런 가운데 대검 중수부(박용석 검사장)는 국세청으로부터 박연차 회장에 대한 세무조사 결과를 최근 넘겨받았으며 박 회장이 세종증권 주식 30% 정도를 차명으로 사고팔아 시세차익을 남기고, 비자금 조성 등 다른 범죄를 저지른 정황이 포함돼 있어 이 부분에 대한 수사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박 회장의 혐의가 입증되면 노 전 대통령의 측근이나 참여정부 실세들이 내부정보를 이용해 차익을 얻었다는 것이 증명이 돼 참여정부의 도덕성에 치명적인 흠집이 날 수도 있다.
이와 관련, 박 회장은 지난 11월 22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당시 농협이 SK증권과 세종증권 가운데 1곳을 인수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던 상황에서 부하직원들이 세종증권 주식을 사겠다고 결재를 올렸을 뿐,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것은 아니다. 다만 차명거래를 통해 세금을 탈루한 것은 맞기 때문에 그 부분은 내가 책임지겠다"라고 밝혔다. 박 회장은 이어 "할 말이 없다.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켜서 죄송하다"며 "검찰에 나가 모든 것을 다 얘기하겠다"라고 말했다. 박 회장은 100억 원 어치의 세종증권 주식을 샀는데 이 중 30% 정도를 차명으로 매입했으며 전체 시세 차익은 100억 원이 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박 회장은 정화삼 씨,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과 함께 노 전 대통령의 ‘후원자 3인방’이라 불리는 인사로 노 전 대통령 측에 7억 원의 불법 대선자금을 제공해 처벌을 받았으며, 또 박 회장의 측근이 봉하마을 부지를 제공해 논란이 된 적이 있다. 또한 베트남, 중국 등에 진출한 신발생산업체 태광실업을 운영 중인 박 회장은 작년 12월 술에 취해 국내선 비행기 안에서 난동을 부린 혐의로 1심에서 유죄가 선고되기도 했다.
진대제·이강철 등 참여정부 실세 연루 의혹 KTF와 KT에 대한 검찰 수사의 칼끝이 참여정부 실세를 겨냥했다는 얘기가 솔솔 흘러나오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남중수 전 KT 사장과 조영주 전 KTF 사장이 구속되자 정치인 연루설이 끊임없이 제기됐다. 이런 가운데 이강철 전 청와대 시민사회수석, 진대제 전 정보통신부장관, 이주성 전 국세청장 등 참여정부 인사들이 이름이 불거져 나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