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김성민 기자]지난 22일 ‘비대위 체제’를 결정한 미래통합당이 ‘김종인 비대위’에 대한 갑론을박으로 내홍을 겪고 있다.
전당대회 전까지 당을 이끄는 관리형 비대위를 주장하는 조경태 최고위원(부산 사하구을)은 “총선참패의 아픔을 딛고 당을 조기에 수습하려면 비대위 체제를 길게 가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비대위의 기간은 전당대회까지만 하도록 하고 이에 부합하는 인물이 비대위원장을 맡아야 한다”고 강조하며 “임기 제한을 두지 않고 당헌,당규에 구애받지 않는 전권을 가진 비대위원장은 상식에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앞서 심재철 미래통합당대표 권한대행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후 22일 오전 20대 국회의원과 21대 국회 당선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 ‘김종인 비대위 찬성’ 의견이 과반을 넘겼다고 밝혔다.
하지만 조 최고위원은 이는 사실과 다르며 김종인 비대위 찬성이 40% 초반이고 내부에 있는 사람들로 비대위를 구성하거나 전당대회를 치르자는 의견도 상당수 있다고 주장했다.
21대 원내대표로 거론되고 있는 조 최고위원이 심 권한대행과 다른 목소리를 내면서 당분간 지도체제를 둘러싼 당내의 다양한 의견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