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임지훈 기자] 몸캠피싱은 피해자가 급격하게 늘어 사회적인 문제로 주목을 받고 있다. 범죄수법임에도 불구하고 매년마다 수법들이 발전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기존에 활동하던 조직들은 중국에서 활동하는 조직과 손을 맞잡은 이후에 더욱 세력을 확장시키고 있다. 국내조직들은 대포통장, 현금인출, 중국인출 등 갈취한 돈을 중국으로 송금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중국조직들은 피해자를 만들어낼 유인책을 모아 국내로 보낸다.
이들을 일망타진하기 위해서는 타국 수사기관과 협조가 필요하다. 국내의 검거사례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일개 조직원에 그친 경우가 많았고 조직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이들을 검거하기 위해서는 타국의 수사기관의 공조가 필요하다.
몸캠피씽은 인터넷 협박, 핸드폰 해킹, 영상물 유포 등의 수법을 합쳤는데, 주로 영상전화를 통해 행해지고 있으며, 특정한 파일들을 보내 피해자가 설치하도록 만들어 연락처를 확보하고 영상과 연락처를 토대로 협박을 가한다.
이러한 가운데, IT보안회사 ‘제로데이’가 피해가 번지는 것을 막고자 예방법과 해결방법들을 알려왔다.
관계자는 “인터넷 협박 및 핸드폰 해킹 등의 수법들이 동원된 몸캠피씽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익명의 상대방이 보낸 파일이나 신뢰할 수 없는 곳에서 받게 되는 파일을 주의해야 한다.”라며 “범죄조직의 협박에 응해도 지속적으로 돈을 요구하기 때문에 협박에 응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몸캠피씽 피해를 입었을 때는 즉각적으로 보안업체를 찾아 해결을 준비해야 한다.”라며 “영상물이 온라인을 통해 유포될 경우 유포의 속도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르기 때문에 반드시 신속히 업체를 찾는 것이 좋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