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임지훈 기자] 보이스피싱은 타인을 기망하는 사기유형의 수법들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도 근절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정부는 발생건수를 줄이기 위해 제도들을 정비하거나 범죄수법을 알리고 있다.
이로 인해 발생건수는 매년 감소되는 추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전에 비해 보이스피싱이 실효를 거두는 일들이 줄어들기 시작하자 범죄조직은 새로운 수법을 창궐해 피해자에게 마수를 뻗쳐내고 있다.
몸캠피싱이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인데, 피해자를 기망해 영상물을 촬영하고 이를 토대로 금전을 갈취한다. 피해자들 중 절반 가량이 청소년으로 알려지게 되면서 심각한 사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몸캠피싱은 인터넷 협박 및 핸드폰 해킹 등 다양한 수법을 활용한다. 수법을 살펴보자면 피해자의 음란행위를 유도해 ‘몸캠’영상물을 확보하고 악성코드나 바이러스가 담긴 파일로 개인정보를 얻어 동영상 유포협박을 가한다.
몸캠피싱에 당했을 때는 전문적인 도움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사이버보안협회에 소속된 보안업체 ‘제로데이’가 동영상 유포협박에 당하고 있는 피해자들을 돕기 위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해당 기업은 피해자들을 위해 맞춤형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보유 중인 솔루션들을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해 보안업체와 기술제휴를 체결하고 자체적인 개발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관계자는 “인터넷 협박 및 핸드폰 해킹이 결합된 범죄인 몸캠피씽의 해결을 위해선 기술력이 필요하다.” 한다.”라며 “기술력이 확보되지 않은 곳을 이용했을 때는 피해의 규모만을 스스로 키우는 셈이다.”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