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일 서울 종로구 배화여고에서 열린 3·1운동 101주년 기념식에서 “비상한 시국에 3·1절 기념식을 열게 됐다”며 운을 뗐다. 그러면서 “매년 3월1일, 만세의 함성이 우리에게 용기를 주었다. 오늘의 위기도 온 국민이 함께 반드시 극복해 낼 것”이라 말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는 잠시 우리의 삶을 위협할 수 있지만, 우리의 단합과 희망을 꺾을 수는 없다”며 “억압을 뚫고 희망으로 부활한 3·1독립운동의 정신이 지난 100년, 우리에게 새로운 시대를 여는 힘이 됐듯, 우리는 반드시 코로나19를 이기고 우리 경제를 더욱 활기차게 되살려낼 것”이라 강조했다.
또 봉오동·청산리 전투의 영웅인 홍범도 장군의 유해 봉환소식을 알렸다.
문 대통령은 “봉오동, 청산리 전투 100주년을 맞아 국민들과 함께 3·1독립운동이 만들어낸 희망의 승리를 자랑스럽게 기억하고 싶다”며 “오늘 저는 온 국민이 기뻐할 소식을 전하고자 한다.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의 승리를 이끈 평민 출신의 위대한 독립군 대장 홍범도 장군의 유해를 드디어 국내로 모셔올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홍 장군의 유해는 카자흐스탄 대통령 방한을 계기로 이뤄질 예정이다.
이어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전력을 다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위기 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 단계로 올려 전방위로 대응하고 있다”며 “아울러 ‘비상경제시국’이라는 인식으로 경제활력을 되살리는 데도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극복 민생·경제 종합대책’의 신속한 추진을 약속한 문 대통령은 “예비비를 적극 활용하고 추경 예산을 조속히 편성해 국회에 제출하겠다. 국회에서도 여야를 떠나 대승적으로 협조해 주시기로 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 “북한과도 보건 분야의 공동협력을 바란다. 사람과 가축의 감염병 확산에 남북이 함께 대응하고 접경지역의 재해재난과 한반도의 기후변화에 공동으로 대처할 때 우리 겨레의 삶이 보다 안전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남북은 2년 전, 9·19 군사합의라는 역사적인 성과를 일궈냈다. 그 합의를 준수하며 다양한 분야의 협력으로 넓혀 나갈 때 한반도의 평화도 굳건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북미·남북 대화가 교착상태에 빠져있지만 코로나19 위기에 남북이 공동 대응함으로써 대화의 불씨를 살려보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일본을 향한 메시지도 포함됐다. 문 대통령은 일본을 ‘언제나 가장 가까운 이웃’이라 표현하며 “과거를 직시할 수 있어야 상처를 극복할 수 있고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 과거를 잊지 않되, 우리는 과거에 머물지 않을 것이다. 일본 또한 그런 자세를 가져주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