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임지훈 기자] 스마트폰에 악성코드를 설치시켜 개인정보를 빼내는 수법이 급증했다. 인터넷을 이용해 불특정다수에게 이뤄지는 이 수법의 피해는 현재 점점 커지고 있다. 해킹조직은 빼낸 개인정보를 그대로 팔아넘기기도 하고,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협박해 돈을 뜯어내기도 한다.
‘몸캠피싱’ 수법에서 주로 사용된다. 자신을 여성이라 밝히며 접근해 돈을 갈취하는 수법인 몸캠피씽은 음란 화상채팅을 하자고 꼬드겨, 영상을 촬영하고 악성코드를 설치시켜 피해대상의 휴대전화 연락처 목록을 해킹한 뒤, 지인들에게 영상을 유포하는 수법이다.
피해 대상의 직접적인 지인에게 몸캠 영상을 유포한다고 협박하기 때문에, 대부분이 돈을 입금하게 되지만, 옳은 선택이 아니다. 보안회사에 사건을 의뢰하는 등 현명하게 대응하여 금전적 피해와 유포로 인한 피해 없이 사건을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 같은 휴대폰 해킹 동반한 몸캠피싱은 현재에도 계속 다양화·전문화 되고 있어 앞으로 더 교묘한 수법이 등장할 전망이다. 그렇기 때문에 보안 업계에서는 낯선 이로부터 받은 파일은 절대로 열어보지 않아야 하며, 보안프로그램을 미리 설치하는 등 보안수칙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동영상 유출 협박 등 유포 관련 범죄에 적극 나서 피해자들을 돕고 있는 모바일 보안 선두주자 시큐어앱(Secure App)은 모바일 악성 앱 분석, 모바일 진단 및 복구, 사이버범죄 수집 및 차단 등 포괄적인 모바일 보안 서비스를 펼치며 디지털 성범죄의 피해자들을 구제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이러한 사이버 범죄 유형은 가까운 이들에게 영상이 유포될 수 있다는 범죄 특성상 초기에 신속한 대응이 가장 중요하다. 이에 시큐어앱에서는 IT전문가로 구성된 전담팀을 구성하여 24시간 긴급상담센터를 운영하여 어느 시간대에 피해가 발생해도 즉각 대응을 펼치며 범죄에 강력히 대응하고 있다.
시큐어앱 임한빈 대표는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사이버 금융범죄의 피해자가 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며 “대인관계나 사회생활에 지장이 생길 것을 염려해 신고를 꺼리는 특성까지 고려했을 때 실제 피해자는 집계된 결과보다 많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임대표는 “만약 이러한 범죄에 당하고 있다면 혼자 전전긍긍하며 협박범에 대응하기보다는 전문적인 조력을 통해 범죄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