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임지훈 기자] 결혼정보회사 가연은 여론조사 전문기업 리얼미터와 함께 ‘결혼 인식조사’를 실시, 전국 19세 이상 44세 이하 미혼남녀 1000명(남 575명∙여425명, 신뢰수준 95%)의 결혼지원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조사했다.
최근 4.15 총선을 앞두고 이색 정당들이 등장하면서, 결혼지원금에 대한 공약들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한 정당에서는 결혼장려금 3천만원을 지급하겠다고 밝혔고 또 다른 정당에서는 결혼수당 1억원, 출산수당 5천만원 지급이라는 파격적인 공약을 내걸기도 한 것.
대중들은 이 같은 공약에 대해 ‘필요한 정책, 지지한다’, ‘현실성 없는 정책, 일시적인 대안이다’ 등 다채로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시행중인 정부의 결혼지원금 정책에 대해서도 자연스레 관심이 높아지게 됐다.
조사 결과, ‘신혼살림과 거주지 마련을 위해 필요한 적정 금액’에 대한 응답은 평균 금액 1억 8,880만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결혼적령기의 30~34세 미혼남녀는 ‘2억원 이상’이 49.4%로 가장 많았고, ‘5천~1억원 미만’(18.2%), ‘1억~1억 5천만원 미만’(17.1%), ‘1억 5천~억원 미만’(7.1%), ‘5천만원 이하’(5.9%), ‘모름 또는 무응답’(2.4%) 순으로 이어졌다.
다음 ‘신혼부부 대상 정부의 결혼자금 지원 적정 금액’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자 전체의 평균 금액은 2억 2,514만원으로 집계됐다. 30~34세 미혼남녀는 ‘2억원 이상’이 41.8%로 가장 많았고, ‘5천만원 이하’(30.6%), ‘5천~1억원 미만’(15.3%), ‘1억~1억 5천만원 미만’(8.2%), ‘1억 5천~2억원 미만’(1.8%) 순으로 나타났다.
그 중 특히 ‘2억원 이상’이라는 답변은 서울 거주자중에서 절반 이상(50.2%)으로 많았고 ‘5천~1억원 미만’이라는 답은 부산, 울산, 경남 거주자중에서 22.1%로 전체 평균 대비 많이 나타났다. 이 결과로 타 지역 대비 월등한 서울 집값의 상승률과 비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혼정보업체 가연 관계자는 "미혼남녀들이 신혼살림과 거주지 마련 등에 드는 비용을 부담스러워하면서 결국 결혼 기피 문제로 이어지고 있는 것 같다"며, "최근 결혼지원금과 관련된 정당 공약 및 지자체 정책을 널리 알려 실질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