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매거진/제주=김연화 기자 제주특별자치도는 최근 제주 여행을 하고 본국으로 돌아간 뒤 발열 증세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확진 판정을 받은 중국인 관광객(1명)에 대해 주요 동선을 확인하고 후속 조치에 돌입했다.

도는 어제(1일) 오후 먼저 중국인 관광객이 체류했던 호텔 내 접촉자들을 확인하고, 5명에 대해서 집중 관찰 대상으로 정해 자가 격리 조치했다.
이 같은 제주도의 조치는 질병관리본부의 관리 지침(증상 발현 이전이면 관리대상이 아님)을 받았지만, 원희룡 지사 주재 긴급회의를 통해 질병관리본부의 관리 지침과 별개로 집중 관리 대상을 확대 적용하기로 자체적으로 방침으로 세운데 따른 것이다.
도는 2월 1일 오후 국토교통부 제주항공청으로부터 중국인 관광객 1인이 25일 중국 귀국 후 26일 발열증세를 보이고 30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는 연락을 받고 통보 받은 직후, 질병관리본부와 연락을 취하고 증상 발현 이전이면 관리대상이 아니라는 의견을 받았다.
그러나 제주도는 도 자체적으로 확진자의 딸과 전화 통화를 시도한 끝에 제주 체류 시 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도는 즉각 제주 체류 시 숙소로 역학조사반을 보내 CCTV를 확인하고, 밀접접촉자 5명의 신원을 파악해 집중 관찰 대상(질병관리본부의 지침과는 별개로 제주도가 자체적으로 만든 용어)으로 분류하고 자가 격리 조치를 했다.
도는 딸이 이야기한 동선들의 정확한 파악을 위해 제주지방경찰청에 신용카드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해 동선 확인 중이며, 독일 사례를 참조해 증상 발현 이전 이틀간 동선을 우선해 집중 조사 중이다.
현재까지 확인 결과 확진자 딸은 “확진자와 딸 외에는 밀접 접촉자가 없다”고 했으나 도에서는 24일 25일 동선 상에 방문 장소인 숙소, 커피숍, 식당, 이동 수단 등을 대상으로 CCTV 등을 통해 일일이 확인하고 있다.
도는 중앙 방침에 관계없이 확인 가능한 동선을 적극 추적하기로 기본 방침을 결정했으며, 의학계에서 논란이 되는 위험 잠복기 감염의 한계선을 고려해 관리 대상자의 특정을 추진 중이다.
향후 제주도는 방문 장소와 이동 경로별로 집중관찰 대상자를 확정하기 위해 보건소별로 역할을 분담해 방문 조사에 나설 계획이다.
한편 2월 2일 9시 기준 제주도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유증상자는 12명으로, 진단결과 모두 음성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