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가운데 우리의 폐 속에 깊게 침투해 있다!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트렌드 관련 서적이 범람하는 출판업계에서 또 하나의 트렌드 서적을 발간하는 것에 많은 사람들이 우려했다. 아직도 더 말할 트렌드가 남아있는가? 하지만 이 책의 저자들은 답한다.
“그렇다. 아직 우리는 할 말이 남아 있다. 아니, 너무 많아서 주체를 못할 정도이다.”
이 책에서는 크게 세 부류의 트렌드를 분석한다.
첫 번째는 광범위한 사회적 관점에서 보는 트렌드이다. 문화도용(cultural appropriation)은 다소 생소한 개념이지만 이미 우리는 ‘아시안 원조’라는 이름으로 근본 없는 음식이 미국 식당에서 판매되는 것에 익숙하다. 이 현상에 문제는 없는가? SNS에 중독된 사람들이 인스타그래머블(instagrammable)한 장소를 찾아다니는 현상의 시사점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기적 유전자를 의미하는 밈(meme)은 우리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
두 번째의 트렌드는 개인적 취향에 대한 것이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가 지배하는 가장 첫 분야인 큐레이션(curation)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유럽의 고급 사교문화를 계승하는 살롱(salon)이 어떻게 우리의 취미생활을 바뀌게 할 수 있는지 알기 쉽게 설명한다.
세 번째의 트렌드로서 문화예술이 잠재되어 있는 우리의 소비생활에 대해 둘러본다. 마치 예술작품을 구매하는 기분으로 구입하는 제품(artistic products), 최고급 작가의 작품을 저렴하게 구입하는 리미티드 에디션(limited edition),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경박함을 극복하는 셀슈머(sellsumer) 창작자들, 상상을 뛰어넘는 문화예술 패키지 상품들(packages) 그리고 어벤저스 등 영화 속 세계관에 우리를 가두어 버리는 시리즈와 리메이크(series and remakes)는 문화예술이 우리의 소비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책은 문화예술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인 홍익대학교 연구진이 현재의 문화예술 트렌드를 사회적 관점, 개인적 취향, 소비생활이라는 세 부류로 분석한 책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가 공기를 마시듯 자연스레 향유하고 있는 문화예술 트렌드에 대해 자각하고 그 흐름을 한층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그 흐름을 읽음으로써 트렌드의 전망 또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이 문화예술 트렌드에 관심이 있거나 이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더 폭넓은 트렌드에 대한 지식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