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강대수 기자] 한국콜마가 2세 경영의 닻을 올렸다. 창업주 윤동한 전 회장이 퇴진한 뒤 4개월 만이다. 업계는 윤상현 신임 부회장이 내년 당면 과제인 CJ헬스케어의 상장 숙제를 완수하고 반전을 이끌 수 있을지 지켜보고 있다.
한국콜마는 지난 10일 윤 총괄사장을 신임 부회장으로 선임하는 등 '2020년 정기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1974년생인 윤 신임 부회장은 스탠퍼드대 대학원을 마치고 글로벌 컨설팅업체인 베인앤컴퍼니 등 M&A 분야에서 전문성을 키워왔다. 한국콜마 합류 뒤에는 화장품과 제약 비즈니스 실무와 함께 2018년 CJ헬스케어 인수를 진두지휘한 것으로 알려졌다.
CJ헬스케어는 올 3분기 224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전년 동기(2억원) 대비 8907.8%나 증가한 수치다.
이런 CJ헬스케어의 호실적을 지난해 인수 당시 직원들에게 지급한 200억원 상당의 위로금으로 인한 ‘기저효과’라는 평가도 있다. CJ헬스케어는 내년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상장될 경우 한국콜마의 사세도 더 커질 전망이다.
업계와 임직원 모두 CJ헬스케어 인수를 주도했던 윤 신임 부회장에게 기대를 거는 이유다.
윤 신임 부회장은 부친인 윤 전 회장의 지난 8월 직원 조회에서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유튜브 영상시청’으로 촉발된 ‘불매운동’에 논란에 대하여 직접 진두 지휘하며 발 빠르게 대응한 것에 대해 그가 선택한 한국 콜마의 자세와 사과는 그 탁월함이 인정되었다.
윤 부회장이 이번 사태를 조기에 해결하게 되면서 경영권을 안정적으로 승계하는 계기로도 삼을 수 있었던 배경이다. 화장품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한국콜마는 최근에 신속하게 대응하면서 사태가 어느 정도 진화되고 있다고 밝혓으며, 최근 홈쇼핑을 통한 제품 판매를 재개했다.
이후 한국콜마는 일본인 사외인사를 두고 있다는 점이 다시 부각되면서 불매운동에 휘말렸지만. 일본인임원진이 자진해 모두 사임하며 불매운동 또한 일단락 되었다.
중화권에서 뜨거웠던 한국 화장품 프리미엄도 식었지만. 중국 내 로컬 화장품 브랜드의 성장은 자체 브랜드가 없는 현지 제조자개발생산(ODM)과 주문자위탁생산(OEM) 기업인 한국콜마에게는 오히려 기회이며 생산 물량은 더 늘어나고 있어 큰 영향이 없을것으로 보인다
화장품업계의 한 관계자는 “윤동한 전 회장이 망설이지 않고 퇴임한 것은 그만큼 윤 부회장의 능력을 믿었기 때문”이라며 “윤 부회장이 현재의 위기를 잘 극복한다면 향후 경영권 승계 과정이 더욱 순조로워질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내년 CJ헬스케어의 상장과 화장품 제조 및 의약 바이오 업계에 방점을 찍고 공격적 경영을 이어나갈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윤 신임 부회장의 내부 평가가 좋기때문에 2세 경영인으로 전면에 나서 성공 신화를 쓸 수 있을지 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콜마 측은 "이번 인사는 전문성과 리더십 역량에 무게를 둔 승진 인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