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임지훈 기자]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사이버 범죄는 거의 모두 익명성에 기반하는데, 사이버 명예훼손과 모욕도 그 일부이고, 사이버음란물, 사이버도박 등 불법 콘텐츠 범죄부터, 사이버금융범죄까지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익명성 뒤에 숨어 일어나는 범죄 중에는 ‘몸캠피싱’도 꼽을 수 있다. 타인이나 어떤 기관을 사칭하여 피해자를 속여 돈을 갈취하는 범죄인 몸캠피씽은 요 근래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범죄 유형이다.
몸캠피싱은 이른바 동영상 유포협박이라고도 불리는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생겨났으며, 익명이 보장되는 랜덤채팅앱, 즉석만남 어플리케이션, SNS, 각종 채팅앱 등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몸캠피씽은 이성을 가장한 협박범이 피해자에게 접근하며 시작되는데, 피해자를 유혹한 뒤 화상채팅을 이용해 음란행위를 유도하고 이를 촬영한 이후 피해자의 휴대전화 연락처 목록 등의 데이터를 해킹하여 몸캠 영상을 지인들에게 유포하겠다고 협박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몸캠피싱에 당해 협박을 당하고 있다면 협박범의 요구에 따르기보다는 적절한 대처를 통해 상황을 타개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경찰에 신고하는 것은 물론, 보안 전문 업체를 찾아 영상 유포가 불가능하도록 막는 것이 중요하다.
모바일보안 전문 기업 시큐어앱(Secure App) 임한빈 대표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몸캠피싱 범죄는 공격자로부터 악성코드를 다운 받고 주소록 등의 데이터에 엑세스를 허용하면서 시작된다”며 “주로 apk 확장자명의 파일 형태였던 악성프로그램이 최근에는 다양한 확장자명의 파일로 배포가 되기 때문에 낯선 이에게 파일을 받았다면 다운받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만약 단 한 번의 실수로 인하여 피싱에 노출돼 협박을 당하고 있다면 가능한 빨리 보안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며 “시큐어앱 보안팀에서는 현재 무료로 24시간 긴급상담센터를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큐어앱은 모바일보안 선두주자격 기업으로 악성 앱과 프로그램, 모바일 진단 및 복구, 사이버 범죄 수집 및 차단 등의 모든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악성코드를 이용한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각종 사이버 범죄 피해 예방에 솔선수범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