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제주=박승연 기자] 제주특별자치도는 2019년산 주요 월동채소 재배면적이 12,910ha로, 전년대비 재배면적 13,986ha보다 1,076ha(△7.7%) 감소, 5년 평균 대비 789ha(△5.8%)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개요]
▲ 기 간 : 2019. 10. 1 ~ 10. 31
▲ 품 목 : 12개 품목(마늘, 양파, 월동무, 당근, 양배추, 브로콜리, 콜라비, 쪽파, 가을배추, 적채, 방울다다기양배추, 비트)
▲ 방 법 : 읍면동별, 마을(행정리)별 기준으로 조사
올해 월동채소 파종시기에는 유례없는 가을장마로 인한 파종지연과 잇단 세 차례 태풍 피해로 대표적인 제주 월동채소인 무, 양배추, 당근, 브로콜리, 마늘 품목이 전년대비 재배면적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재배면적이 감소한 품목은 당근(△19.3%), 적채(△17.7%), 양파(16.4%), 양배추(△15.6%), 브로콜리(△14.8%), 쪽파(△11.4%), 월동무(△4.9%), 마늘(△4.0%) 8개 품목이며, 전년대비 재배면적이 증가한 품목은 콜라비(73.7%), 비트(19.4%), 방울양배추(17.2%), 배추(8.3%) 4개 품목으로 조사됐다.
【 제3차 재배면적 조사결과 】
(단위 : ha / %)
구 분 |
계 |
월동무 |
마늘 |
양배추 |
브로 콜리 |
당근 |
양파 |
쪽파 |
콜라비 |
적채 |
배추 |
비 트 |
방 울 양배추 |
`19조사결과(3차) |
12,910 |
4,923 |
1,943 |
1,721 |
1,273 |
1,067 |
586 |
420 |
476 |
135 |
104 |
228 |
34 |
`18~`19 재배면적 |
13,986 |
5,177 |
2,024 |
2,038 |
1,495 |
1,323 |
701 |
474 |
274 |
164 |
96 |
191 |
29 |
최근 5개년 평균면적 |
13,699 |
4,410 |
2,168 |
1,972 |
1,541 |
1,443 |
751 |
621 |
313 |
186 |
119 |
140 |
35 |
전 년 면적증감 |
△1,076 |
△254 |
△81 |
△317 |
△222 |
△256 |
△115 |
△54 |
202 |
△29 |
8 |
37 |
5 |
전년대비 |
△7.7 |
△4.9 |
△4.0 |
△15.6 |
△14.8 |
△19.3 |
△16.4 |
△11.4 |
73.7 |
△17.7 |
8.3 |
19.4 |
17.2 |
최근 5개년 면적증감 |
△789 |
513 |
△225 |
△251 |
△268 |
△376 |
△165 |
△201 |
163 |
△51 |
△15 |
88 |
△1 |
최근 5개년 평균대비 |
△5.8 |
11.6 |
△10.4 |
△12.7 |
△17.4 |
△26.1 |
△22.0 |
△32.4 |
52.1 |
△27.4 |
△12.6 |
62.9 |
△2.9 |
이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생산 예상량이 적을 것으로 전망되는 월동채소에 대하여 겨울철 이상기후로 인한 생육상황 및 수급상황을 파악하는 등 집중적인 모니터링을 강화해 나갈방침이다.
특히, 월동무는 태풍 이후 10월까지도 파종이 이어지면서 내년 3 ~ 4월 집중 출하로 인한 가격하락 위험이 우려되고 있고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무 생산자협의회, 생산자단체, 행정 등이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수급조절 등 공동의 자구 노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우철 제주특별자치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올해산 월동채소 유통처리 과정에서 정부 채소 가격안정제(면적 조절 사업 등) 외 별도의 시장격리사업은 지원 배제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며 “농가 스스로 비규격품 유통근절에 적극 참여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