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임지훈 기자]이전의 영상유포 범죄는 연인이나 전 배우자에 대한 복수심에 행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에는 영상을 직접 녹화한 후 협박의 소재로 사용하는 신종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해당 범죄는 몸캠피싱이라는 범죄로 매스미디어나 인터넷 등에서 다뤄지고 있다.
몸캠피씽 수법은 대개 여성들의 사진을 도용한 피의자들이 피해자에게 성적인 호기심을 자극하면서 영상으로 녹화를 진행한다. 녹화 전후를 이용하여 APK파일이나 ZIP 파일 등을 보내게 되는데, 주로 화상채팅에 필요한 파일이라고 설명하거나 자신의 알몸 사진이라고 설명을 하는 등의 핑계로 설치를 유도한다. 해당 파일을 실행할 시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이 유출된다.
녹화한 영상을 지인들에게 유포한다고 협박하거나 SNS나 P2P사이트 등에 업로드하겠다며 협박을 가하게 되는데, 금품요구에 응하지 않을 시에는 영상을 유포한다. 협박범들은 요구에 응하지 않을 경우에는 유포로 이어진다는 인식을 피해자들에게 심기 위해 유포를 감행하는 경우가 많다.
유출로 인한 피해를 경험하게 되었을 경우 사회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피해자들이 요구에 응하는 경우가 많지만 몸캠피씽 협박조직들은 일회에 그치지 않고 추가적인 입금요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협박에 당하여도 절대 요구에 응하지 않아야 한다.
대부분의 피해자들은 피해사실을 알리는 것을 꺼려하기 때문에 피해자들은 자주적인 방법들로 대응방안을 고심하기 시작하였다. 효과적인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 카페나 커뮤니티들을 설립하게 되었는데, 대표적인 예가 ‘몸캠피씽 피해자 모임카페(이하 몸피카)’라는 곳이다.
이미 피해를 당한 피해자들이 자신들이 당했던 피해사례들을 공유하거나 사건을 원만하게 해결한피해자들이 자신의 사례들을 공유하는 등 피해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자신들의 사례들을 소상하게 공유하고 있다.
‘몸피카’ 관계자는 “몸피카는 현재 과거 피해자부터 협박을 당하고 있는 피해자와 모바일 보안 전문가들이 가입해 자주적인 방법으로 해결책을 고안하고 있다”라며 “가장 효과적인 대응방법은 수사기관에 알리는 한편 보안업체를 찾아 대응을 준비하는 것이다”라고 전했다.
또, “일부 업체들은 기술력이 없음에도 홍보를 진행하고 있으며, 피씽조직들이 보안업체로 위장해 접근을 하는 사례들도 다수 늘어나고 있으니 업체의 이용후기 등을 찾아본 후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