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와 ‘믿음’으로 다가서는 행복설계
상태바
‘신뢰’와 ‘믿음’으로 다가서는 행복설계
  • 이연제 기자
  • 승인 2008.08.08 16: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차별화된 경쟁력이 있다. 교보생명 해운대 FP지점 박정범 팀매니저

   
▲ 2008년 현재, 교보생명 실적률 1위를 자랑하는 박정범 팀매니저는 씨티뱅크 부산/남천지점 Gold Center PB로 금융업계에 뛰어들어, 삼성증권 투자전문위원을 지낸 주식 전문가이다. 1종 투자상담사, 2종 투자상담사, 금융자산관리사, 파생상품 전문운용인력, 변액보험판매관리사, 간접투자증권(Fund) 판매상담사 등의 자격증을 보아도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금융의 전 분야를 섭렵한 최고의 인재라 할 수 있다.

원칙을 지키는 자산관리, 금융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교보생명 해운대 FP지점의 박정범 팀매니저(
www.starfp.kyoboconsultant.co.kr)는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금융자본주의시대에 가장 기본이면서도 중요한 것이 바로 ‘금전’에 해당하는 자산이다”라며 “자산과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이 바로 종합자산관리컨설턴트로서, 전문 금융컨설턴트는 개인과 법인이 필요로 하는 재무 즉 재무안정과 재무성장을 실현시켜주는 전문직종이다”고 소개했다. 컨설턴트는 재무안정과 성장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도록 카운셀링을 하는 일이고, 고소득전문직으로서 커리어패스는 물론이고 근로자나 자영업자가 누릴 수 없는 금전적, 시간적, 일정상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최고의 직업이라고 말한다. 또한 “선진국인 미국에서는 의사, 변호사, 종합자산관리사를 최고의 3대 직종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가치 있는 직업이라는 점과 ‘자통법’의 시행으로 그 영역이 더욱 높아질 것이다”고 전했다. 선진국진입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와 자산관리의 중요성이 그 만큼 커진다는 설명이다.
2008년 현재, 교보생명 실적률 1위를 자랑하는 박정범 팀매니저는 씨티뱅크 부산/남천지점 Gold Center PB로 금융업계에 뛰어들어, 삼성증권 투자전문위원을 지낸 주식 전문가이다. 1종 투자상담사, 2종 투자상담사, 금융자산관리사, 파생상품 전문운용인력, 변액보험판매관리사, 간접투자증권(Fund) 판매상담사 등 그가 가지고 있는 자격증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1997년 씨티뱅크 근무시 Service Star 수상을 필두로, Service Exellence 수상, 수신 및 수익증권 실적 한국 1위, 수신 및 투자상품 부문 아시아 1위(Red Dragon) 수상 등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자리를 옮겨 2000년 삼성증권 한해 약정고 1조 달성으로 그 실력을 이어가더니, 현 직장인 교보생명 FP로서도 만만찮은 실적을 쌓아가며 금윰의 전 분야에서 골고루, 그것도 각 분야에서 모두 1등의 위치까지 올라간 것으로 그의 전문성을 입증해주고 있다.
박정범 팀매니저는 2005년 고객만족 FP대상 신인상 수상과 2006년 MDRT 정회원 등록, 스타보험설계사, 2007년 고객만족 FP 대상 수상, 교보 리더스클럽 멤버 등록 등 빠른 적응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경영학을 전공한 그는 Portfolio 투자 및 국제경제에 대한 안목을 키웠고, 정석으로 자산관리기법을 씨티은행에서 배우며 간접투자의 중요성과 증권회사에서 배운 직접투자의 흐름 및 기업분석능력까지 두루 갖추고 있는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금융의 전 분야를 섭렵한 최고의 인재라 할 수 있다.

   
▲ 컨설턴트는 재무안정과 성장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도록 카운셀링을 하는 일이고, 고소득전문직으로서 커리어패스는 물론이고 근로자나 자영업자가 누릴 수 없는 금전적, 시간적, 일정상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최고의 직업이다.

상품의 고유특성을 파악한 ‘맞춤설계 전문가’
CEO 은퇴설계를 주력으로 하는 박정범 팀매니저는 기업체 사장과 의사, 변호사, 교수 등의 전문직 종사자가 고객의 90% 이상일 만큼 VIP 마케팅에 주력하여 왔다. 정직과 신뢰에 바탕을 둔 고도의 전문성과 윤리성을 강조하는 박정범 팀매니저는 “고객이 이루고자 하는 목표실현, 수익실현에 포커스를 맞추어 1년에 한번씩 자산의 기존배분전략대로 가져갈 것인지, 아니면 한층 더 Up-grade 할 것인지, Rebalancing할 것인지 여부를 고객과 함께 점검 한다”고 말했다. 
박정범 팀매니저는 “주식상품, 펀드상품, 부동산상품 등 매달 신규로 나오는 금융상품들이 200여 개가 넘지만 일반인이 정확한 정보를 얻기란 쉽지 않다”며 “결국엔 이러한 정보를 갖고 있는 능력 있는 종합자산관리 컨설턴트를 만나는 것이 자산관리가 쉬워질 수 있는 비결이 되는 것이다”고 말한다. 누구를 만나는 가에 따라 성공과 실패가 좌우되고, 호화유람선을 소유하고 있다고 한들 유능한 선장 없이는 무용지물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미국의 투자회사인 ‘버크셔해셔웨이’의 CEO인 투자의 귀재 워렌버핏의 이야기를 소개하며 “자산관리의 첫째 원칙은 원금을 손해 보지 않는 것이고 둘째는 첫째 원칙을 지키는 것이다”고 소개한다. 이는 다른 사람들이 집중투자해서 좋아할 때 두려워 할 줄 알아야 하고, 다른 사람이 두려워할 때 집중투자해서 좋아할 줄 알아야 하는 자산관리에 대한 냉철함이 있는 전문컨설턴트를 만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고객자신이 스스로 관리하려다보면 욕심이 앞서고 올바른 자산관리를 할 수 없다는 점에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성공의 지름길이라고 말하는 박 매니저는 상품의 내용을 아는데 그치지 않고 상품의 고유특성을 잘 파악해 고객에게 꼭 맞는 ‘맞춤설계’로 신뢰를 얻고 있다. 그래서인지 요즘 그는 ‘맞춤설계 전문가’라는 유명세 때문에 강의요청 폭주로 누구보다도 바쁜 하루를 보내고 있다.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오늘도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박정범 매니저, MDRT중에서도 세계에서 0.1%만이 오른다는 TOT레벨을 갖고 있는 그에게 우리나라 종합자산관리컨설턴트의 ‘최고의 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INTERVIEW  I  교보생명 해운대 FP지점 박정범 팀매니저  

■ 컨설턴트로서 힘들었던 점과 가장 보람을 느꼈던 순간이 있었다면
보험업의 컨설턴트로서 남자 FP가 매월 꾸준한 영업실적을 올린다는 것이 매우 힘든 부분입니다. 그러나 항상 꾸준한 실적을 달성하는 저를 비전으로 삼고 입사한 동료남자직원이 ‘실적 유지’에 대한 부담감으로 이직을 고려하는 모습을 보았고, 또 이름난 남자설계사들이 몇 달간 큰 실적으로 두각을 나타내다 1~2년도 못되어 사라져 버린다는 말을 들었을 땐 사실 힘든 부분도 있었지만, 그럴수록 더욱 노력하고 인내하며 매월 큰 실적으로 회사에서도 인정받고 고객과도 오랫동안 함께하는 자산관리사가 되어야겠다고 스스로 다짐하고 노력하였기 때문에 지금 이 자리에 설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자신만의 노하우 및 고객 대응방법이 있다면
상속·증여세법, 재무회계 등에 대한 철저한 지식을 바탕으로 고객들이 가지고 있는 기존 보험의 중복된 부분이나 잘못된 설계를 바로 잡아 주는 것에서부터 고객의 신뢰를 얻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증권직접투자 및 펀드투자에 관한 상담, 보험외의 금융자산(예금,ELS,펀드)등  상품고유의 특성을 잘 개발한 ‘맞춤설계’로 고객들의 신뢰를 얻는 것이 저만의 비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객들은 저를 만난 것이 자신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고 말합니다. 이런 따뜻한 격려의 말 한마디가 오늘의 저를 이끄는 원동력인 것 같습니다.

■ ‘고객 사랑’을 위한 실천노력 중에 중점을 두고 계신 부분이 있다면
내 고객을 위해 끊임없이 공부하여 더욱더 제 자신을 개발해 나가는 것입니다. 정확한 상품설계가 고객에 대한 가장 큰 사랑의 표현이라고 생각하며, 내가 정확히 알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한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영업을 하는 것은 결국 오래가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보험은 수익보다는 신뢰를 바탕으로 한 인맥이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세법이나 투자론 등의 해박한 지식으로 중무장하여야 고객의 자산을 보호하고 관리해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 프로필
1997년 Citibank Service Star상 수상 / 1999년 수신 및 수익증권 실적 한국 1위,  삼성증권 차장(투자전문위원) / 2000년 교보생명 해운대 FP지점 근무 / 2005년 고객만족 FP대상 신인상 수상(매일경제) / 2006년 금정리더스 회원/MDRT 정회원 / 2007년 한국증권신문 칼럼 연재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