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천디지털금형센터는 부천시에서 중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금형산업의 육성을 위하여 지역 업체의 생산성 향상과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하기 위해 금형의 CAD/CAM/CAE 기술 및 사출 금형 및 성형 기술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부천이 수도권 최고의 첨단 산업 메카로 부상하고 있어 새로운 경제발전 모델로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성공 비결은 금형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지원책을 제공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고정밀 사출 금형 및 성형 기술 지원, 쾌속 시제품 제작 지원 등 기업이 애로를 겪고 있는 분야를 개척하여 선도하고 있으며 금형 기술자 양성 사업도 활발히 펼치고 있다. 부천 및 경인 지역 업체의 생산성 향상과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하는데 일조하고 있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천디지털금형센터(김종덕 센터장/이하 부천디지털금형센터)를 찾아가 금형 산업의 중요성과 센터의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부천시 국내 금형 산업의 메카
2000년 8월에 설립된 부천디지털금형센터는 금형기술개발 지원, 금형설계 및 엔지니어링기술지원, RP&RT(괘속 시제품 및 쾌속 금형) 생산기술지원, 금형 및 부품의 측정 및 평가 기술지원, 3C(CAD, CAM, CAE) 교육 및 금형기술, 금형산업 IT 인프라구축 지원 등 근접기술지원사업을 추진하여 중소금형업체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부천디지털금형센터 총괄책임을 맡고 있는 김종덕 센터장은 독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럽사무소에서 5년간 근무하며 중소기업 발전을 위해 독일 및 유럽의 선진 금형기술을 국내에 소개하고 기술이전에 힘써왔으며 현재 센터의 성공적인 사업을 이끌어 나가고 있다.
그는 “금형은 부천 경제의 중요한 한 축을 형성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양산업이 아니라 첨단산업 중에서도 첨단의 최고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라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선진 산업국의 중심에는 금형이 필수적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상품 경쟁력과 국가 경쟁력을 좌지우지하고 있습니다”라며 금형산업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그동안 센터에는 우수한 연구진들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눈부신 성과를 내고 있다. 개발한 성공 사례로는 LIGA-reflow 공정을 이용한 micro-렌즈 사출 금형 및 성형 기술 개발, 자동차 클러치 부품 성형을 위한 fine blanking 금형 개발, 자동차 connector 성형을 위한 쾌속 금형 기술 개발 및 마그네슘(Mg) Camera case 성형 기술 개발 등 선진화된 금형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 | ||
▲ 3차원 측정기 등 정밀 측정 장비, 금형 설계 및 성형 해석을 위한 CAD/CAM/CAE S/W, 고속가공기, FMC, 사출 성형기, 고성능 PC 등을 갖추고 있다. |
국내 경쟁력 위해 고정밀 금형기술 개발 필요
금형기술은 동일규격의 제품 및 부품을 대량생산하기 위하여 제품 형상과 대응되는 금속재 틀 또는 형을 설계, 제작, 가공·조립하는 기술이다. 예로부터 이론보다는 기술 인력의 현장 경험에 의해 전수되어 오다가 최근 공작기계와 컴퓨터의 발달로 인해 기술 자료가 체계화되면서 소프트웨어 형태로 축적, 전수되고 있다.
또한 금형은 이론과 현장기술이 복합된 현장지향형의 복합기술이면서 공산품의 80%이상은 금형에 의해 만들어지므로 제품의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지 금형기술을 축적하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구축이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일반 범용플라스틱 금형의 경우 한국의 금형기술 수준은 일본, 미국 등 선진 금형국가와 동등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부가가치는 중국 등 신흥 금형국가들이 낮은 인건비를 내세워 가격 경쟁력을 펼침으로써 점차 줄어들고 있으므로 향후에는 고부가가치의 핵심부품 금형개발을 위한 고정밀 금형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김종덕 센터장은 “우리 센터는 이러한 상황에 직면해 있는 기업들에게 기술 개발 지원 체제를 구축하고, 관련업체가 고부가가치의 기술 능력과 생산 능력을 갖추도록 공동 연구, 신기술에 대한 기술 인력 재교육 및 양성, 공동 활용장비의 확보 및 운용, 기술 동향과 기술 정보 제공, 애로기술의 해결 및 신기술 창업 지원 등을 통해 지역 경제발전과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실현하며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금형의 CAD/CAM/CAE 기술 및 사출 금형 및 성형 기술 교육 수행
부천디지털금형센터는 부천시에서 중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금형산업의 육성을 위하여 지역 업체의 생산성 향상과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하기 위해 금형의 CAD/CAM/CAE 기술 및 사출 금형 및 성형 기술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센터 위치가 금형관련 기업이 밀집되어 있는 부천 지역에 자리하고 있어 센터 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나 참여 강사진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주고 있다. 이를 적극 활용하여 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에는 학계와 산업계의 전문가들이 적극 참여하고 있어 관련 인프라가 잘 형성되어 있으며 수강자들에게 이론과 함께 실제 산업체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설명하여 연구 개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이론과 실무를 겸한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김종덕 센터장은 “빠른 기술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재직자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실무 중심의 재교육 과정으로 특성화하여 체계적인 재교육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향후 기업 수요에 맞춘 주문식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입니다”라고 밝혔다. 또한 지역과 센터는 분리된 개념이 아닌 협력, 동반, 참여와 결연관계 하에서 윈-윈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기업체의 수요를 적극 수용해 그들이 필요로 하는 고가의 장비를 구축하고 고가 첨단 기자재를 지역 기업이 우선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센터는 국내외 교류 협력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세계적 수준으로 부상할 채비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대외적인 활동이 밑거름이 되어 지역의 발전, 국가의 경쟁력을 키우는 원천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