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6년 오랜 외국생활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와 휴식 기간을 이용하여 홈패션과 꽃꽂이를 배운 송준경 회장은 이 취미생활을 전문 직종으로 바꿀 기회를 마련한다면 많은 사람들에게 그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모든 일에는 전문성이 중요하거든요. 하지만 그 당시에는 그럴만한 인식과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던 시절이었습니다. 저는 일단 인식을 바꾸고, 공예 기술의 교육과 보급에 관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했습니다.”
![]() | ||
▲ 2008년 열린 제 2회 한국공예 기능 전 시상식과 제 1회 부라더미싱 섬유 예술 공모전 시상식에서 한국문화센터 회원들과 송준겸 회장의 모습. |
높은 수준의 교육 실시로 생활 공예 문화의 저변 확대
90년대 중반만 하더라도, 여자들이 즐길 수 있는 취미는 그렇게 많지 않았다. 이에 송 회장은 이런 교육을 실시할 만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부터 시작했고, 처음으로 한국문화센터를 열었을 때 2040세대 여자들의 호응은 뜨거웠다고 한다. 점차 회원들의 호응에 힘입어 한국문화센터는 성장하였다.
2000년 3월 4일 평생 교육법이 실시되면서, 교육청 등록의 평생교육시설 전국연합체인 ‘한국문화센터 연합회’가 공식으로 출범하였고, 2001년 1월 교육부에서 ‘사단법인 한국공예기능협회’가 승인되어 전국의 전문 강사들이 주축이 된 연구 세미나 및 전시회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생활 공예 문화의 저변 확대가 이루어졌다. 현재 한국문화센터는 80곳이 넘는 지역별 지부에서 높은 수준의 각종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전국 모든 지부의 원장들은 평생교육사 자격증을 소지한 평생교육행정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전문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다.
한국문화센터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몇 가지 분류로 나뉜다. 옷, 홈패션, 전통침선 등을 가르치는 「섬유분과」, 핸드페인팅, 악세사리 제작, DIY 등의 「공예분과」, 네일아트, 피부관리 등의 「미용분과」, 「꽃예술분과」이다. 그 외에도 국가자격증 대비반, 창업반 등을 가르치고 있으며 ‘부라더 홈 미싱사’의 지정교육실도 겸하고 있다.
회원들의 성장이 가장 큰 보람
▲ 한껏 멋을 낸 한국문화센터 수강생들의 작품으로 한국문화센터에서는 공예에 관한 모든 교육을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과정을 통해 실시하고 있다.
송 회장은 각종 전시회와 공모전을 준비하면서 각종 전시회를 프로듀스 하는 데에는 전문가가 되었다. 전국 한국문화센터의 이사진, 원장, 전문 강사 등 평생 교육 전문가들의 각종 전시회에서의 활약은 대단한 것이었다. 대표적인 몇 가지만 꼽아도 다음과 같다.
▲인사동 갤러리 블루 생활공예 전시회 시리즈 기획전시(2000년) ▲불우이웃돕기 전국순회작품 전시회 기획전시(2001년) ▲월드컵기념 전통복식전 주최(2002년) ▲케이블 TV DIY 채널 방영 ‘DIY 문화센터’ 연간 기획 및 제작(2003년) ▲제1회 한국공예문화 공모전 개최 (경인미술관)(2004년) ▲현대백화점 중동점 초청 전통공예전 기획전시(2004년) ▲롯데백화점 잠실점 초청 생활공예 릴레이전 기획전시(2005년) ▲킨텍스 하비쑈 참가(2006년) ▲대구 KBS 초청 생활공예전(2007년) ▲제2회 한국공예기능공모전 주최 및 코엑스 전시회(2008년). 그 외에도 지난 8년간 거의 매달 TV 방송과 신문 잡지에서 한국문화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이 소개되어 왔으며, 이에 힘입어 소속 회원들은 각 전문 협회의 임원으로 거듭났다. “역시 최고의 보람을 느낄 때는 회원들의 성장하는 모습을 지켜볼 때입니다.” 현재 한국문화센터를 방문하는 주 계층은 주로 20~40대 여성들이다. 하지만 유치원생부터 70대, 남자, 여자를 가리지 않고 모든 계층이 한국문화센터의 수강생들이다. 이는 무엇보다 질 높은 강사진과 저렴한 수강료로 학습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송 회장의 최근의 가장 큰 고민은 ‘한국문화센터’를 사칭하여 운영되고 있는 여타 비법인, 사립학원들이다. 한국문화센터의 이름이 매우 보편적이고, 실력과 명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사칭하는 학원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게 송 회장의 얘기다. 이에 송 회장은 한국문화센터를 찾아올 때에는 꼭 협회의 마크를 확인해 비법인이나 사립학원의 피해를 입지 말라고 당부했다.
1982 예원학교 무용과 졸업 / 1991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 2003 이화여대 평생교육원 평생교육사 과정 수료 - 평생교육사 2급 / 1985 문화관광부 주최 전국민속무용경연대회 예총회장상 : 인간문화재 김숙자 류 / 1987 KBS-TV ‘프로야구 하이라이트’ 공동 진행 / 1989~1990 LA ‘라디오 코리아’ PD (LA, 미국) / 1989 제1회 한민족체육대회 재미교포 공연예술단 총괄 코디네이터 역임 / 1991~1992 NHK-TV 한글교육프로 공동 진행 (東京, 일본) / 1993 미국 Asian Society 주최 ‘한국의 해’ 기념행사 中 서부 LA 지역 문화 행사 기획 및 진행 - 톰 브래들리 LA 시장 감사패 수상 / 1997~현재 사회교육시설 일반문화센터 설립운영 / 2000~2005 한국문화센터 전국연합회 설립, 초대, 2대, 3대 회장 역임 / 2001~2005 사단법인 한국공예기능협회 설립, 초대 이사장 역임 / 2002 도시철도공사사장 감사패 수상 / 2003 서울경제신문 선정 ‘올해를 빛낸 TOP 브랜드 대상 사회교육부문 대상’ 수상 / 2003~2004 교육인적자원부 ‘평생직업 전문교육 정책지원단’ 자문위원 역임 / 2005~현재 한국문화센터전국연합회, 사단법인 한국공예기능협회 명예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