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구조 내·외장재도 인간처럼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KINTEX관 ‘2008 경향 하우징페어’는 지난 2월 22일 ~ 27일 6일간 2008년 건축자재 Trend와 쾌적하고 편리한 주거 공간 창조 및 최신 건축기자재의 기술 등을 소개하는 기업관을 전시 했었다. 전시 참가기업과 관계자들이 공감하는 화제는 단연 ‘숨 쉬는 건물’ ‘친환경’ 소재였다. 쾌적성, 소재의 친환경성, 마감재의 건물에 대한 소재 일원화를 제시하는 현진 티알에스의 ‘Pandomo’ 소재가 전시 참여 기업과 관계자들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관심과 집중을 받았다.
기능성 건물내장 마감재 ‘Pandomo’
슬러브형 건물에서 아파트, 복합 주거단지에 이르기까지 경제규모와 문화, 필요성에 따라 건물문화는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과거 부족한 사무공간과 주거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용적율 높은 건물을 건축했던 구조물들이 기후변화 대응과 효율적인 에너지제어 건물설계라는 미래 명제 속에서 도시 지구구역계획에 따른 도시 재개발과 리모델링되어야 할 상황에 놓여 있다. ‘건축물 미래트렌드는 향후 최소한의 필요공간을 뛰어넘는 쾌적함과 행복을 소비자에게 전해주는 건물로서 향후 신축되는 건물의 경우 이러한 가치를 사전에 고려한 건물로 설계·시공될 것’이라고 CM협회 관계자들은 전한다.
(주)세비앙 류인식 대표와 지능형건물 솔루션 업체 인텔리전트 솔루션 조용성 대표의 ‘쾌적함과 행복이라는 두 요소를 만족시킬 필요·충분조건은 건물소재, 디자인을 설계단계에서 입주자와 거주자 성향을 충분히 고려한 맞춤형 건물이 시공되어야 가능하다’라는 말에서 건물에 대한 개념이 바뀌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동안 건물 내·외장 마감 소재들이 서로 이질적인 문제로 인하여 건물 구조물 설계와 보수에 있어서 어려움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시멘트는 소재가 갖는 질감과 표현력·구성력이 환경 친화적이지 못했을 뿐 아니라 과거 건물이 단순건물 의미 이상을 주지 못했던 문화가 한몫했다. 현진 티알에스 ‘Pandomo’ 마감재는 공간친화적인 디자인 구성이 자유롭고 MS/DS를 인증 받은 인체에 유해했던 시멘트의 개념을 전환시킨 혁신소재로 독일과 두바이에서 인정받은 제품이다. 독일 ADEX사 ‘Pandomo’ 소재를 국내에서 시공하는 현진 티알에스는 시공과 관련하여 자체 기술진과 김호준 대표가 독일 ADEX사를 방문, 현지 실무 시공교육을 수료 받고 2007년 6월부터 서울 소재 고층형 빌딩, 고급형 주택 리모델링, 청송, 한국전력 홍보관 내장 마감을 시공하고 있다. 현재 해외에서 ‘Pandomo’소재는 두바이 초고층 지능형 빌딩 내장재로 활용되고 있어 그 소재에 대한 가치와 디자인 구성력이 빠르게 전파되어 지고 있는 셈이다.
이음새 없어 디자인 표현·구성력 뛰어나
건물 내부를 디자인 하는 디자이너와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혀 줄 내장 소재는 극히 많지 않다. ‘Pandomo’ 소재는 개별색상 조색, 조명, 거칠기, 무지개빛, 그림자 효과 등 그 표현력이 무한한 까닭에 디자이너, 소비자들에게는 건물 전체 컨셉과 자기공간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건물 바닥, 내벽, 천정에 이르기까지 그 시공 범위가 크게 개선되었으며 마감재 이음새가 없어 건물에 대한 이질감과 심리적 공간 폐쇄성을 극복 할 수 있었다”고 김호준 대표는 말한다.
노령화되어 가는 인구 구성비에서 욕실 내장재의 질감은 중요하다. 깔끔하고 정교하게 마감하여 물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였으나 바닥이 미끄러워 발생하는 우연적 사고에 대한 노인들의 욕실 공포는 부가가치를 양산하는 새로운 시장이다. 현진 티알에스에서 ‘Pandomo’ 소재는 외관은 세련되고 매끈하나 실질적인 질감정도를 자유자재로 시공이 가능하여 건물 내부 특정지역 및 주거인의 성향, 성비, 연령대를 고려한 맞춤형 건물로서 건물내재 가치를 높게 평가 할 수 있는 미래형 마감재라고 말할 수 있다. 앞으로도 ‘쾌적한 주거문화와 행복을 소비자에게 전해주는 기업’으로 기억되는 현진 티알에스를 기대해 본다.
KINTEX관 ‘2008 경향 하우징페어’는 지난 2월 22일 ~ 27일 6일간 2008년 건축자재 Trend와 쾌적하고 편리한 주거 공간 창조 및 최신 건축기자재의 기술 등을 소개하는 기업관을 전시 했었다. 전시 참가기업과 관계자들이 공감하는 화제는 단연 ‘숨 쉬는 건물’ ‘친환경’ 소재였다. 쾌적성, 소재의 친환경성, 마감재의 건물에 대한 소재 일원화를 제시하는 현진 티알에스의 ‘Pandomo’ 소재가 전시 참여 기업과 관계자들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관심과 집중을 받았다.
기능성 건물내장 마감재 ‘Pandomo’
슬러브형 건물에서 아파트, 복합 주거단지에 이르기까지 경제규모와 문화, 필요성에 따라 건물문화는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과거 부족한 사무공간과 주거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용적율 높은 건물을 건축했던 구조물들이 기후변화 대응과 효율적인 에너지제어 건물설계라는 미래 명제 속에서 도시 지구구역계획에 따른 도시 재개발과 리모델링되어야 할 상황에 놓여 있다. ‘건축물 미래트렌드는 향후 최소한의 필요공간을 뛰어넘는 쾌적함과 행복을 소비자에게 전해주는 건물로서 향후 신축되는 건물의 경우 이러한 가치를 사전에 고려한 건물로 설계·시공될 것’이라고 CM협회 관계자들은 전한다.
(주)세비앙 류인식 대표와 지능형건물 솔루션 업체 인텔리전트 솔루션 조용성 대표의 ‘쾌적함과 행복이라는 두 요소를 만족시킬 필요·충분조건은 건물소재, 디자인을 설계단계에서 입주자와 거주자 성향을 충분히 고려한 맞춤형 건물이 시공되어야 가능하다’라는 말에서 건물에 대한 개념이 바뀌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동안 건물 내·외장 마감 소재들이 서로 이질적인 문제로 인하여 건물 구조물 설계와 보수에 있어서 어려움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시멘트는 소재가 갖는 질감과 표현력·구성력이 환경 친화적이지 못했을 뿐 아니라 과거 건물이 단순건물 의미 이상을 주지 못했던 문화가 한몫했다. 현진 티알에스 ‘Pandomo’ 마감재는 공간친화적인 디자인 구성이 자유롭고 MS/DS를 인증 받은 인체에 유해했던 시멘트의 개념을 전환시킨 혁신소재로 독일과 두바이에서 인정받은 제품이다. 독일 ADEX사 ‘Pandomo’ 소재를 국내에서 시공하는 현진 티알에스는 시공과 관련하여 자체 기술진과 김호준 대표가 독일 ADEX사를 방문, 현지 실무 시공교육을 수료 받고 2007년 6월부터 서울 소재 고층형 빌딩, 고급형 주택 리모델링, 청송, 한국전력 홍보관 내장 마감을 시공하고 있다. 현재 해외에서 ‘Pandomo’소재는 두바이 초고층 지능형 빌딩 내장재로 활용되고 있어 그 소재에 대한 가치와 디자인 구성력이 빠르게 전파되어 지고 있는 셈이다.
이음새 없어 디자인 표현·구성력 뛰어나
건물 내부를 디자인 하는 디자이너와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혀 줄 내장 소재는 극히 많지 않다. ‘Pandomo’ 소재는 개별색상 조색, 조명, 거칠기, 무지개빛, 그림자 효과 등 그 표현력이 무한한 까닭에 디자이너, 소비자들에게는 건물 전체 컨셉과 자기공간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건물 바닥, 내벽, 천정에 이르기까지 그 시공 범위가 크게 개선되었으며 마감재 이음새가 없어 건물에 대한 이질감과 심리적 공간 폐쇄성을 극복 할 수 있었다”고 김호준 대표는 말한다.
노령화되어 가는 인구 구성비에서 욕실 내장재의 질감은 중요하다. 깔끔하고 정교하게 마감하여 물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였으나 바닥이 미끄러워 발생하는 우연적 사고에 대한 노인들의 욕실 공포는 부가가치를 양산하는 새로운 시장이다. 현진 티알에스에서 ‘Pandomo’ 소재는 외관은 세련되고 매끈하나 실질적인 질감정도를 자유자재로 시공이 가능하여 건물 내부 특정지역 및 주거인의 성향, 성비, 연령대를 고려한 맞춤형 건물로서 건물내재 가치를 높게 평가 할 수 있는 미래형 마감재라고 말할 수 있다. 앞으로도 ‘쾌적한 주거문화와 행복을 소비자에게 전해주는 기업’으로 기억되는 현진 티알에스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