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산업부장관, 해외진출 유통기업 간담회 개최

[시사매거진]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29일(화) 대한상의에서 “해외진출 유통기업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열고, 유통업계의 해외진출과 우리 제품 수출 확대를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전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주 발표한 ‘소비재 수출활성화대책’이 실질적인 효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해외에 진출해 있는 백화점ㆍ대형마트ㆍ홈쇼핑ㆍ면세점과 국내 온라인 역직구몰 등 유통업계의 역할이 크다는 점을 고려해 열렸다.
주형환 장관은 이날 간담회에서, “지난주 2일간 구미, 광주 등 전국 주요 산업단지에서 수출카라반 행사를 통해 입주기업들의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보니, 좋은 물건을 만들 수 있지만 판로확보나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의 사례가 많았다.”고 하면서 “소비재 수출활성화대책이 실질적인 효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해외 주요 지역의 소비자 취향, 현지 로컬 벤더나 유통기업들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유통기업들이 제품의 개발ㆍ디자인, 판매ㆍ수출 등에서 보다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유통기업들이 상품을 구상하고 디자인하는 단계부터 마케팅과 수출까지 이어지는 모든 과정에서 국내 중소ㆍ중견 제조기업들을 지원하고, 적극적으로 협업해줄 것”을 당부했다.
또 국내 유통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수출 첨병으로서 유통기업의 역할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우리나라 유통기업들이 미래가 유망한 해외 온라인ㆍ오프라인 시장으로 적극 진출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유통업계 대표들은 해외유통 비즈니스 경험과 성공사례를 교환하고, 최근 어려운 수출환경을 타개하기 위하여 유통업계가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유통업계와 산업부는 ‘해외진출 유통기업 협의체’를 구성ㆍ운영하여 국내제품의 해외 판로 확대와 유통기업의 해외진출 확대 관련 사안들을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산업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대형마트·홈쇼핑 등 12개 기업이 중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14개국에 230개 점포를 운영중이며, 이들 유통기업들이 2015년 해외에서 거둔 매출은 약 10조 원이며, 이중 의류ㆍ식품ㆍ화장품 등 우리 소비재를 판매하여 거둔 매출은 약 6,000억 원으로 해외 총매출의 약 6%를 차지하고 있다.
산업부는 한류 열풍과 지난해 발효한 중국ㆍ베트남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을 고려할 때 현지 유통매장에서의 국내 제품 판매는 앞으로 보다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해외 현지 소비자와 최일선에서 접하고 있는 유통업체들이 단순한 유통기업으로서의 역할을 넘어서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 판로를 개척해주는 성공 사례들이 다수 등장했다.
산업부는 해외진출 유통기업들이 중소기업 제품의 해외판로 지원을 위해 사실상의 전문무역상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유통기업들이 요청할 경우 전문무역상사로 지정하고 이에 따르는 지원과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
수출상담회ㆍ시장개척단ㆍ전시회 참가시 기업, 제품, 지역선정 등에 있어 유통기업들의 의견을 우선적으로 반영하고, 해외 현지 소비자들이 국내 우수제품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유통업을 영위하는 전문무역상사의 해외 점포에 한국상품전시장(한국상품시범매장 : Test Bed) 설치를 지원하기로 했다.
대형마트는 자사 브랜드와 국내 중소기업 생산이 결합된 자가브랜드(PB : Private Brand) 상품이 해외에서 성공한 사례를 소개했다.
현지 소비자 입맛과 취향, 상품구성, 유통환경 등 현지 사정에 밝은 유통업체가 중소 제조업체의 상품기획ㆍ디자인, 수출입ㆍ납품까지 총괄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소비재 수출 확대와 대ㆍ중소기업 상생 차원에서 유통대기업과 중소제조업간 협업 모델을 확산할 예정이다.
유통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해서 수출 제품을 개발하는 경우, 연구개발(R&D), 디자인, 패키징 등 정부지원을 우선적으로 받도록 하고,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평가시에 가점을 추가 반영토록 협의하기로 했다.
해외진출 유통기업이 현지에서 구축한 해외 로컬 벤더, 현지 토종 유통업체와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우리 제품의 판로 확대에 이바지하고 있다.
산업부는 코트라 등 수출지원기관과 유통기업간 협력을 통해 우리 중소기업과 해외 로컬벤더, 현지 유통기업과의 교류를 촉진하기로 했다.
또한, 주요국의 해외 로컬벤더, 현지 유통기업에 대한 정보 데이터베이스(DB)(글로벌 유통망 지도)도 구축(코트라)하여, 우리 중소기업과 유통기업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산업부와 업계는 전자상거래가 급증하는 추세에 부응하여, 역직구 등을 통한 수출확대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다.
온라인 업계에서는 수출신고 등 통관 불편, 해외 반품을 위한 저장 창고ㆍ물류 부족에 대한 애로사항 등을 제시했다.
산업부는 온라인으로 해외 구매자들이 국내제품을 사가는 경우, 수출로 신고해서 수출기업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 보세창고, 반품처리지원센터 등을 지원하는 등 실질적인 전문무역상사로서의 역할에 맞는 혜택을 제공한다.
아울러 이번 하반기 예정인 대규모 할인행사에서 온라인 업계가 많이 참석하도록 요청하는 한편, 미국의 사이버먼데이처럼 온라인을 위한 특정한 날을 지정하고, 국제 특송비용을 인하하는 등 동 행사 참여하는 온라인 업계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