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평가와 재선정평가 순차 실시”

[시사매거진]교육부는 2016년도 대학 특성화사업(CK,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 중간평가 추진계획을 확정해 발표했다.
이는 지난 2년간 대학과 사업단의 특성화 추진 노력과 성과를 점검하고, 우수한 신규 사업단에게 진입 기회를 제공하여 기존 사업단과의 경쟁을 통해 사업의 성과 관리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올해 중간평가는 크게 성과평가와 재선정평가로 구분하여 진행되는데, 지난 2014년 7월에 선정된 106개 대학 338개 사업단을 대상으로 특성화 성과를 확인하는 성과평가(5월)를 실시하고, 성과평가 결과 하위 30% 사업단 및 신규 사업단이 참여하는 재선정평가(7월~)를 순차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이번 중간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된 특성화 대학 및 사업단은 오는 2018년까지 교육부의 지원을 받게 되며, 특성화 분야 우수 인재를 집중 육성하게 된다.
특성화 대학 및 사업단은 올해의 경우 2,467억 원을 지원받고, 대학의 체질개선 및 특성화 기반을 구축한다.
성과평가는 2014년 선정된 CK 사업단(106개 대학 338개 사업단)이 1·2차년도에 이루어낸 성과와 실적을 평가한다.
2014년 선정당시 대학과 사업단이 제시한 정원 감축, 학사구조 개편 등 대학의 체질 개선 노력과 사업단의 특성화 구축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한다.
성과평가 결과는 5월말에 확정되며, 상위 70% 사업단(242개 사업단 내외)은 계속지원 사업단으로, 하위 30% 사업단(96개 사업단 내외)은 재선정 평가 사업단으로 구분된다.
재선정평가는 성과평가 결과 하위 30% 사업단(96개 내외 사업단)과 이번에 새로 진입하려는 신규 신청 사업단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재선정 평가에서는 대학이 스스로의 여건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강점 분야를 육성하도록, 현재 65% 규모의 대학자율 유형을 최대 70%까지 확대 할 계획이다.
올해 재선정평가에서는 사업의 일관된 추진을 위해 2014년 당시의 선정 평가 지표 기조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했다.
다만, 특성화를 통한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학의 수업방식 혁신, 학생 취업·창업 지원 강화, 사회수요 맞춤형 인력양성을 유도하기 위해 평가 지표를 개선했다.
대학과 사업단은 특성화 여건과 교육 내실화 계획을 평가받게 되며, 결과는 9월에 확정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중간평가를 통해 지난 2년간의 특성화 성과와 노력이 미흡한 사업단을 탈락시키는 한편, 우수한 신규 사업단에게 사업의 참여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업의 경쟁력을 높여 성과창출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되며, 나아가 사업의 성과를 지속 관리함으로써,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대학을 육성하고, 사회 수요 맞춤형 창의 인재를 양성하는데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