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불꾸불 혈관기형, 하지정맥류를 잡아라
입원 필요 없이 일상생활로 즉시 복귀 가능한 것이 장점
하지정맥류란 다리의 혈액순환에 이상이 생겨서 정맥혈관이 늘어져 다리에 푸르거나 검붉은색 혈관이 꽈리처럼 부풀어 다리 피부를 통해 튀어나오는 일종의 혈관기형이다. 거미줄 같은 실핏줄도 나타난다. 처음에는 장딴지부터 시작해서 점점 위쪽으로 올라가 사타구니부분까지 진행하며 서 있을 때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주요 원인은 혈액을 다리에서 심장으로 보내는 정맥내 판막에 문제가 생겨서 나타난다. 판막은 아래쪽에서 올라오는 혈액이 다시 내려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판막에 문제가 생기면 역류되는 혈액과 올라오는 혈액이 만나서 소용돌이를 일으키고 그 압력으로 정맥이 부풀게 된다. 그밖에 유전이나 호르몬·간경화·심장병 등 여러 원인이 있다. 오랫동안 서 있는 경우나 변비가 있는 경우, 비만증이 있는 경우, 임신했을 때는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정맥류 치료, 환자의 특성을 고려해 적절하게 선택해야
▲광섬유 레이져치료(EVLT, EndoVenous Laser Therapy)는 가는 광섬유를 통하여 정맥내로 레이저(Laser)를 직접 조사하여 역류가 있는 혈관벽을 파괴하면 자연스럽게 늘어난 정맥을 수축, 폐쇄시키는 치료. 외부에서 혈관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혈관내로 광섬유를 통하여 레이져를 투입하는 시술로 기존의 레이져 치료와 차별화 된다. 하지정맥류의 초기라면 서혜부에 약 1mm정도의 바늘구멍의 상처만으로 치료가 가능하며 입원이 필요 없어 즉시 일상생활에 복귀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 정맥내레이져 치료는 역류의 근원을 제거하는 치료이므로 주로 무릎이하의 이미 늘어난 정맥류를 치료하는 정맥절제술 혹은 경화치료 등과 동시적으로 치료에 적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정맥절제술(Phlebectomy)는 국소마취로 2~3mm 이하의 작은 피부절개를 통해서 망가진 정맥을 제거하는 방법. 절개창의 길이가 짧아 흉터가 거의 남지 않는 시술로 경화요법으로 치료하기 힘든 굵은 정맥류에 주로 이용되는 치료법으로 손과 팔에 원하지 않는 정맥( Unwanted hand vein )도 정맥 절제술로 치료할 수 있다.
▲경화치료(Sclerotherapy)
정맥내로 혈관경화제를 주사하여 혈관내막을 손상시켜 혈관의 수축폐쇄를 유도하는 치료법.
주사로 경화제를 투입하므로 통증에 대한 걱정을 할 수 있으나 매우 가는 특수바늘을 사용하여 주사하기 때문에 큰 불편 없이 간단하게 치료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일부환자에게서 치료 후 피부에 갈색의 착색이 나타날 수 있는데 대개 6개월 뒤에 소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압박 스타킹(Compression Stockings)
특수한 고탄력 재질로 제작된 스타킹으로 말 그대로 하지를 압박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단순한 압박이 아니라 발목부위에서 최대의 압력이 나타나고 발목에서 상부로 올라갈수록 다리를 압박하는 힘이 줄어서 허벅지 부위에서는 발목을 압박하는 압력의 40%정도의 압력으로 압박하도록 고안된 의료용 스타킹이다.
그러나 이러한 압박치료만으로는 병의 진행을 늦추고 증상의 개선에는 도움이 되지만 근본적인 치료가 될 수 없다. 불행하게도 정맥류의 치료에 매우 유용한 압박 스타킹은 국내에서 제작되지 않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고가인 것과 여름철에 착용이 불편한 것이 단점이다.
입원 필요 없이 일상생활로 즉시 복귀 가능한 것이 장점
하지정맥류란 다리의 혈액순환에 이상이 생겨서 정맥혈관이 늘어져 다리에 푸르거나 검붉은색 혈관이 꽈리처럼 부풀어 다리 피부를 통해 튀어나오는 일종의 혈관기형이다. 거미줄 같은 실핏줄도 나타난다. 처음에는 장딴지부터 시작해서 점점 위쪽으로 올라가 사타구니부분까지 진행하며 서 있을 때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주요 원인은 혈액을 다리에서 심장으로 보내는 정맥내 판막에 문제가 생겨서 나타난다. 판막은 아래쪽에서 올라오는 혈액이 다시 내려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판막에 문제가 생기면 역류되는 혈액과 올라오는 혈액이 만나서 소용돌이를 일으키고 그 압력으로 정맥이 부풀게 된다. 그밖에 유전이나 호르몬·간경화·심장병 등 여러 원인이 있다. 오랫동안 서 있는 경우나 변비가 있는 경우, 비만증이 있는 경우, 임신했을 때는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정맥류 치료, 환자의 특성을 고려해 적절하게 선택해야
▲광섬유 레이져치료(EVLT, EndoVenous Laser Therapy)는 가는 광섬유를 통하여 정맥내로 레이저(Laser)를 직접 조사하여 역류가 있는 혈관벽을 파괴하면 자연스럽게 늘어난 정맥을 수축, 폐쇄시키는 치료. 외부에서 혈관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혈관내로 광섬유를 통하여 레이져를 투입하는 시술로 기존의 레이져 치료와 차별화 된다. 하지정맥류의 초기라면 서혜부에 약 1mm정도의 바늘구멍의 상처만으로 치료가 가능하며 입원이 필요 없어 즉시 일상생활에 복귀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 정맥내레이져 치료는 역류의 근원을 제거하는 치료이므로 주로 무릎이하의 이미 늘어난 정맥류를 치료하는 정맥절제술 혹은 경화치료 등과 동시적으로 치료에 적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정맥절제술(Phlebectomy)는 국소마취로 2~3mm 이하의 작은 피부절개를 통해서 망가진 정맥을 제거하는 방법. 절개창의 길이가 짧아 흉터가 거의 남지 않는 시술로 경화요법으로 치료하기 힘든 굵은 정맥류에 주로 이용되는 치료법으로 손과 팔에 원하지 않는 정맥( Unwanted hand vein )도 정맥 절제술로 치료할 수 있다.
▲경화치료(Sclerotherapy)
정맥내로 혈관경화제를 주사하여 혈관내막을 손상시켜 혈관의 수축폐쇄를 유도하는 치료법.
주사로 경화제를 투입하므로 통증에 대한 걱정을 할 수 있으나 매우 가는 특수바늘을 사용하여 주사하기 때문에 큰 불편 없이 간단하게 치료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일부환자에게서 치료 후 피부에 갈색의 착색이 나타날 수 있는데 대개 6개월 뒤에 소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압박 스타킹(Compression Stockings)
특수한 고탄력 재질로 제작된 스타킹으로 말 그대로 하지를 압박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단순한 압박이 아니라 발목부위에서 최대의 압력이 나타나고 발목에서 상부로 올라갈수록 다리를 압박하는 힘이 줄어서 허벅지 부위에서는 발목을 압박하는 압력의 40%정도의 압력으로 압박하도록 고안된 의료용 스타킹이다.
그러나 이러한 압박치료만으로는 병의 진행을 늦추고 증상의 개선에는 도움이 되지만 근본적인 치료가 될 수 없다. 불행하게도 정맥류의 치료에 매우 유용한 압박 스타킹은 국내에서 제작되지 않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고가인 것과 여름철에 착용이 불편한 것이 단점이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