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 국토부 앞서 불만 표출
상태바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 국토부 앞서 불만 표출
  • 신관호 기자
  • 승인 2019.10.02 18: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 제2공항 반대 기자회견...2일 세종시 국토부 청사 앞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이하 도민회의)'는 2일 세종시 국토교통부 청사 앞에서 제주 제2공항 건설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시사매거진/제주=신관호 기자]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이하 도민회의)'가 2일 세종시 국토교통부 청사 앞에서 제2공항 건설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도민회의는 2일 국정감사가 열리는 세종시 국토교통부 청사 앞에 서 시위를 벌였다. 이날 이들 단체는 "2015년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에 대한 제2공항 입지발표 이후 성산읍 주민들이 국토교통부의 반민주적이고도 일방적인 행정폭력과 강요에 시달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국토교통부가 제2공항의 근거로 제시하고 있는 ‘제주 공항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은 이미 수십여 가지의 부실이 드러난 거짓 용역이었음이 밝혀졌다"며 "거짓과 부실로 점철된 용역 하나로 4년이 넘도록 제주도민들을 기만하고 호도하면서 쓸데없는 공항을 도민들에게 강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도민회의는 "기본계획으로 확정한 제2공항의 역할은 국제선 운용은 포기하고 국내선만 겨우 50% 운영하는 만년 적자에 시달릴 공항에 불과하다"며 "그것도 수조원이 넘는 혈세를 낭비하면서 지역주민들을 내쫓고 환경을 파괴하면서다"고 덧붙였다.

여기에 이들 단체는 제주 제2공항 건설계획이 당시 박근혜 정부의 졸속된 계획이라고 비판했다. 이날 도민회의는 "박근혜정부에서 졸속으로 결정된 제2공항 계획이다"며 "국토교통부 일부 적폐관료들이 밀어붙이는 제2공항 계획은 이제 문재인 정부에서 정리해야 한다"고 했다.

이 밖에 이 단체는 제2공항에 대한 기본계획 수립단계에서 먼저 행해진 전략환경영향평가는 사전타당성 용역과 같이 부실과 졸속의 연장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공항의 필요성부터 시작해 제주라는 섬에서 두 개의 공항을 운영할 계획의 적정성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동굴조사를 포함한 정밀 지반조사도 여전히 실시되지 않았고 여러 철새도래지의 존재로 항공기 조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도 없다"고 반박했다.

제2공항 계획으로 인해 제주도내 인구 및 경제, 환경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도내 유입인구 증가와 관광객 증가에 따른 폐기물 처리, 상수원 확보, 하수처리, 교통량, 자연환경 훼손 및 복원 등에 미치는 영향과 구체적인 환경인프라 구축 계획은 없다"며 "도민들의 동의 없이 환경인프라 구축계획도 불가능하고, 지금까지 국토교통부는 제주의 환경수용력을 단 한 번도 조사 연구한 바 없다"고 혹평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