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제주=신관호 기자] 최근 1년간 서귀포시의 미분양 가구 수가 2배 가까이 늘은데다 악성미분양 가구 수는 3배 이상 증가하면서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선정, 시내 아파트 거래시장에 대한 불안감 등 낙인효과가 짙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서귀포시의 경우 지난 7월 기준 미분양가구 수가 645가구로, 전년동월(323가구)보다 322가구 증가하는 등 1년전 같은기간의 2배에 육박했다.
더 큰 문제는 악성 미분양이다. 시내 상당수 분양주택의 공사가 완료된 뒤에도 미분양문제를 떨치지 못하면서 주택시장의 한파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인다는 것이다.
서귀포시의 '공사완료 후 미분양 가구수'는 지난 7월 기준 488가구로 전년동월(143가구)보다 3배 이상 많았다. 그 중에서도 동기간 60㎡(약 18평)이하 주택의 경우 완공 후 미분양주택 수가 13가구에서 132가구로 10배 이상 늘었으며 60~85㎡(약 18~25평) 규모의 주택의 경우 125가구에서 327가구로 악성 미분양 가구 수가 2배 이상 증가했다.
또 85㎡(약 25평) 초과 주택수도 동기간 5가구에서 29가구로 6배 가까이 늘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서귀포시의 미분양 문제가 심각해지자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지난달 30일 제37차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서귀포시를 포함시켰다.
미분양관리지역은 최근 3개월간 미분양 가구 수가 500가구 이상, 이 기간 전월대비 미분양 가구 수 감소율이 10% 미만인 달이 있는 곳이면 해당된다.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사업부지를 매입하려면 분양보증 예비심사를 거쳐야 하며, 이미 토지를 매입했더라도 분양보증을 받을 때 사전심사를 거치게 된다.
이 때문에 미분양 관리지역 선정시 해당 도시는 아파트를 비롯한 주택거래 시장의 불안감을 높이는 낙인효과에 시달릴 수 있다는 게 여러 전문가들의 견해다.
제주도내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서귀포시의 경우 최근 아파트 등 주택가격이 전월대비 하락하는 흐름을 보였고, 미분양 문제가 확산되면 거래경기가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