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민, 수백억 예산 ‘작은도서관’ 3년반 동안 2400여 곳 휴·폐관
상태바
김수민, 수백억 예산 ‘작은도서관’ 3년반 동안 2400여 곳 휴·폐관
  • 박희윤 기자
  • 승인 2019.10.01 09: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수민 바른미래당 국회의원(사진_시사매거진)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수백억 예산을 들여 정부와 전국 지자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작은도서관'이 최근 3년 반 동안 2,435곳이나 휴·폐관한 것으로 확인됐다. 작은 도서관은 2019년 9월말 기준 전국에서 6,902곳 운영 중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수민 바른미래당 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국감자료 ‘작은도서관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6년도에 휴관한 작은도서관이 302개, 폐관한 도서관이 53개였다. 2017년도에는 휴관이 369개, 폐관은 562개로 10배 이상 증가했다.

2018년도에도 폐관한 작은도서관이 391개나 됐다. 휴관한 도서관도 323개 있었다.

올해는 1월부터 9월 말까지 폐관한 작은도서관은 257개, 휴관은 178개를 기록 중이다. 이처럼 2016년도부터 2019년 9월 말까지 휴·폐관한 작은도서관이 2,435곳이나 된다.

예산은 문체부와 전국 자자체에서 올해까지 630억5천만 원이 들어갔다. 2017년까지 388억 원, 2018년도에 9억7천2백만 원, 2019년도에 232억7천8백만 원이 배정됐고, 내년 정부안에는 46억3천만 원이 반영되어 있다.

문체부가 김수민 의원실로 제출한 ‘2018 작은도서관 운영실태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인력 및 예산 부족 등 운영상 어려움과 그에 따른 이용자감소가 휴·폐관의 원인이라고 파악되고 있다.

김수민 의원은 “문화체육관광부는 작은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지원 및 도서지원, 시설개선, 인력과 예산의 효율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행정업무 개선을 위한 직원들에 대한 전문성 교육과 타 기관들과의 교류협력 증진, 도서관에 대한 홍보강화 방안 마련 등 다각적인 활성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