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주진현 기자] 직장암 진단의 경우, 직장수지 검사가 먼저 진행된다. 해당 검사에서는 의사가 고무장갑을 낀 손가락을 환자의 항문에 넣어서, 항문 안쪽에 혹이 만져지는지를 검사한다. 이 검사를 통해서 이 암의 75%를 발견한다. 암이 의심되면 대장 내시경, 혹은 에스 결장경을 통해서 꼭 조직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직장에 생긴 암세포로 대부분의 직장암은 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며, 이 외에도 유암종, 림프종, 육종, 편평상피암, 다른 암의 전이성 병변 등이 있다.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된다.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암, 직장암이라고 하며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 직장암이라고 한다. 직장은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길이는 약 15cm이며 상부, 중부 하부 직장으로 나눌 수 있고, 천골의 앞면에서 가운데를 따라 내려가 항문에서 끝난다.
조기에 발견하고 조기치료가 쉬워 치유율이 높은 편이다.
직장의 수지검사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다. 40세 이후에는 매년 1회의 직장 수지검사가 권장된다. 이 외에 대장이중조영, 에스상결장경, 대장내시경 등을 이용한 검사가 있는데, 이중 대장 전체의 관찰이 가능하고 조직검사까지 동시에 할 수 있는 대장내시경이 가장 효과적이고 정확한 검사 방법으로 추천된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