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협력’은 대학에서는 기업이 원하는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기업에서는 현장적응력 높은 인재의 채용 및 개발된 기술의 도입으로 수익성을 높여 대학의 연구개발에 재투자함으로써 대학과 기업이 상호협력을 통해 발전의 시너지를 추구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산학협력단은 이러한 산·학·연·관 협력을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와 지역산업발전을 위해 실질적이고 전문화된 산학협력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이로써 과학·기술 사업화를 위한 창업지원, 산업체 육성을 위한 기술개발 및 연구지원, 시제품 효능분석을 통한 산업 경쟁력 제고, 산학 상호 연계와 협력을 통한 공동기술 개발, 산학밀착형 기술교육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 식품의약품 등의 품질검사를 통한 안전성 확보를 한다.
대학의 교육, 연구력이 세계적 수준으로 성장하고 산학협력을 통해 활성화 될 때, 대학은 그 어떤 분야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국가산업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향후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서 대학은 ▲학교 유형에 따른 대학별 인력양성 기능 강화 ▲산학간 교육과정 공동운영 확대 ▲지역발전과 밀접한 산업부문에 연계된 대학별 특성화 추진 ▲산학협력 성과 중심의 평가 및 인센티브 강화 등이 필요하고, 산업체는 산업체가 원하는 기술 인력의 공급원이 대학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필요인력 양성 기반 조성을 위해 적극적인 인적·물적 지원을 해야 하며, 정부와 지자체는 ▲산학협력에 있어 촉진자, 투자자로서의 역할 강화 ▲산학협력 매뉴얼 개발과 컨설팅 지원 및 세제 등 제도 정비 ▲각종 사업간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구축과 산학협력 참여주체간의 상호협력 및 지원체제 구축을 통한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추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대학의 교육, 연구력이 세계적 수준으로 성장하고 산학협력을 통해 활성화 될 때, 대학은 그 어떤 분야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국가산업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향후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서 대학은 ▲학교 유형에 따른 대학별 인력양성 기능 강화 ▲산학간 교육과정 공동운영 확대 ▲지역발전과 밀접한 산업부문에 연계된 대학별 특성화 추진 ▲산학협력 성과 중심의 평가 및 인센티브 강화 등이 필요하고, 산업체는 산업체가 원하는 기술 인력의 공급원이 대학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필요인력 양성 기반 조성을 위해 적극적인 인적·물적 지원을 해야 하며, 정부와 지자체는 ▲산학협력에 있어 촉진자, 투자자로서의 역할 강화 ▲산학협력 매뉴얼 개발과 컨설팅 지원 및 세제 등 제도 정비 ▲각종 사업간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구축과 산학협력 참여주체간의 상호협력 및 지원체제 구축을 통한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추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