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등급판정을위한검사’ 일단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상태바
‘치매 등급판정을위한검사’ 일단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 박세정 기자
  • 승인 2019.09.08 01: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치매

[시사매거진=주진현 기자] 치매는 일단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인에 의하여 손상 또는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기능과 고등 정신기능이 떨어지는 복합적인 증상을 말한다.

초기증상으로는 입맛변화, 우울증, 애착 ,도벽 등 범죄적 행동과 애착 등의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증상이 반복되거나 갑작스럽게 나타난다면 치매초기증상을 의심 해 볼 수있다.

그 자체가 하나의 질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원인에 의한 뇌손상에 의해 기억력을 위시한 여러 인지기능의 장애가 생겨 예전 수준의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예방하기 위하여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신체적인 건강을 유지하도록 노력한다, 취미 생활을 갖도록 한다, 두뇌 활동을 많이 하도록 한다, 친구들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가능한 한 사회 활동을 많이 하도록 한다. 등 지속적으로 두뇌활동을 유지 할 수있는 어떤 활동이라도 좋다고 전문의들은 말한다.

치매의 치료는 현재까지는 완전한 것은 없다. 그러나 새로운 약물 치료제의 개발로 고혈압, 당뇨병 처럼 치료가 가능한 질환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