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7년의 밤’ 웅장한 댐 모습과 물 펼쳐나가는 압도적인 장면 탄생... 전에 볼 수 없던 강렬한 비주얼
상태바
영화 ‘7년의 밤’ 웅장한 댐 모습과 물 펼쳐나가는 압도적인 장면 탄생... 전에 볼 수 없던 강렬한 비주얼
  • 박한나
  • 승인 2019.09.07 14: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토 : 영화 '7년의 밤' 스틸

[시사매거진=박한나] ‘오영제’의 대저택, 짙은 안개가 깔린 숲, 수몰된 마을을 품고 있는 비밀스러운 호수, 거대한 스케일의 댐 등 영화 <7년의 밤> 속 모든 사건이 벌어지는 공간은 바로 세령마을이다. 

원작 소설 속 정교한 묘사로 상상 속에만 존재했던 세령마을이 현실이 될 수 있도록 <7년의 밤> 제작진은 약 10개월 동안 대대적인 장소 섭외 과정을 거쳤다. 제주를 제외한 전국 팔도에서 원하는 장소들을 찾아낸 <7년의 밤> 미술팀은 이곳들을 하나의 공간처럼 만드는 작업을 진행했다. 추창민 감독은 “공간과 분위기, 상황들을 최대한 사실감 있게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했다”고 로케이션과 미술 작업의 취지를 밝혔다.
 
<7년의 밤> 제작진은 전국의 수목원과 저수지를 다니며 세령마을의 모습을 간직한 숲들을 찾아내었고 그 안에 실제 마을을 조성했다. 그중 하나인 전북 완주군에 위치한 상관 저수지는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은 장소다. 빽빽이 우거진 침엽수림이 자아내는 음산한 분위기에 배우들까지 놀랐다는 후문이 전해져 기대감을 높인다. 숲 속 ‘오영제’의 대저택은 버려진 저택을 찾아내 뼈대만 살리고 새로 제작한 것이다. 이재성 미술감독은 대저택이 세령마을의 주인인 ‘오영제’의 권력을 시각적으로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공간이라고 설명하며 그 압도적인 느낌을 살리기 위해 공을 들였음을 강조했다.

세령마을 속 어두우면서 미스터리한 분위기를 뿜어내는 근원지인 호수는 충북 음성군의 최대 저수지 중 하나인 원남 저수지를 포함해 전국 각지의 호수에서 촬영했다. 추창민 감독은 “전화도 터지지 않고 차가 들어갈 수 없는 험한 곳이어서 배를 타고 다니며 새로운 길을 만들어 촬영했다”고 비화를 전했다. 미술팀은 호수 안에 잠긴 마을을 실제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물 속에 세트를 제작해가며 비밀을 간직한 호수와 수몰된 마을의 모습을 완벽한 비주얼로 구현해냈다.
 
마지막으로 <7년의 밤> 제작진은 ‘현수’와 ‘영제’가 맞붙는 공간인 거대한 세령댐을 구현해내기 위해 충북 청주시와 대전 대덕구 사이에 있는 대청댐을 섭외했다. 수많은 후보 중 대청댐이 선택된 것은 댐과 함께 어우러진 호수와 하류마을이 주는 느낌이 소설 속 세령댐의 비주얼과 완벽히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이재성 미술감독은 “‘현수’와 ‘영제’의 몰입감 넘치는 액션 장면을 위해 대청댐 위에 세트를 제작했다. 이것이 <7년의 밤> 작업 중 가장 어려웠던 작업이었다”고 밝혔다. 25층 아파트 상당 높이에서의 세트 제작으로 <7년의 밤>은 웅장한 댐의 모습과 물이 펼쳐나가는 압도적인 장면을 탄생시켰다. 여기에 거대한 댐 위에서 펼쳐질 두 인물의 대결씬은 전에 볼 수 없던 강렬한 비주얼로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