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청와대는 5일 라오스 국빈 방문을 끝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임기 내 목표했던 '아세안 10개국 방문'을 모두 완료하는 것과 관련해 "우리 신남방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를 견인하고 협력 의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주형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은 이날 오후(현지시간) 라오스 현지 프레스센터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이 같이 말한 뒤 "문 대통령은 임기내 아세안 10개국을 모두 방문한 유일한 대한민국 대통령"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017년 11월 8일 인도네시아 방문 당시 사람(People), 상생번영(Prosperity), 평화(Peace)를 기반으로 한 '사람 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를 만들겠다는 신남방정책의 비전을 천명한 바 있다.
이를 기반으로 문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방문을 포함해 ▲필리핀(2017년11월12일) ▲베트남(2018년3월22일) ▲싱가포르(2018년7월11일) ▲브루나이(2019년3월10일) ▲말레이시아(2019년 3월12일) ▲캄보디아(2019년3월14일) 를 모두 방문하며 아세안 소속 회원국 7개국 방문을 모두 마쳤다. 나아가 아세안 회원국은 아니지만 신남방정책의 핵심 파트너인 인도 순방도 지난해 7월 마쳤다.
이번 5박 6일의 태국, 미얀마, 라오스 3개국 순방을 끝으로 문 대통령은 아세안 10개국을 모두 방문하게 됐다. 오는 11월 부산에서 개최 예정인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앞두고, 양국 대화 관계 수립 30주년을 보다 의미 있게 맞이하기 위해 신남방외교에 더욱 속도를 냈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주 보좌관은 문 대통령의 조기 목표 완수와 관련해 "이는 우리가 아세안과 인도 등 신남방 지역을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방증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순방을 통해 신남방정책의 안정적 추진 기반을 마련하고 아세안 10개국에게 우리의 진정성과 협력 의지를 보여줬다"고 자평했다.
그러면서 "아세안 국가들도 미래를 향해 함께 나아갈 수 있는 협력 파트너로서 우리를 신뢰하고 장기 비전과 실질 협력 성과를 내기 위한 높은 기대와 요구를 보여줬다"며 경제협력, 양국 교류, 군사·안보 협력 등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가 진전됐다고 밝혔다.
주 보좌관은 미중 갈등과 일본 수출규제로 촉발된 경제 불확실성에 맞서 신남방정책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그는 "아세안은 이미 우리의 핵심 파트너"라며 "제조업과 인프라 건설 등 전통적 협력분야 뿐만 아니라 ICT, 바이오, 전기차 등 4차 산업혁명을 아우르는 첨단산업분야까지 상호 협력 여지도 매우 크다"고 했다.
이어 "최근 미중 갈등 및 일본 수출규제 등으로 글로벌 밸류체인이 재편되고 있는 상황에서 글로벌 생산기지로서 역할만이 아니라 소비시장 및 직접투자 시장으로서 아세안 및 인도의 전략적 의미는 더 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상호 호혜적·미래 지향적 협력 분야를 발굴하고 신남방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함으로써 우리와 신남방 국가들이 기대하는 큰 성과를 빠르게 만들어 가겠다"고 다짐했다.
청와대는 아세안 10개국 순방을 통해 신남방 정책의 토대를 탄탄히 다진 만큼, 이제는 신남방외교를 4강(强)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주 보좌관은 "금년 11월 25~27일 부산에서 개최되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한-메콩 정상회의'는 한-아세안 관계를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아세안의 지지도 또 하나의 성과로 꼽혔다.
주 보좌관은 "아세안내 모든 국가들은 우리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를 재확인하였으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 정착을 위해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고 전했다.
이어 "아세안에서 1,2차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됐으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초청하는 방안도 아세안측에서 먼저 제기했을 정도로 한반도 평화에 대한 아세안의 관심과 지지는 확고하다"고 했다.
주 보좌관은 그러면서 "금번 3개국 순방을 통해 발굴된 과제를 포함하여 우리와 신남방 국가들이 공히 상호 체감할 수 있는 실질 성과를 빠르게 창출해 나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