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박한나] 1980년대는 그 어느 때보다도 진정한 자유와 정의를 위해 치열하게 살아가던 시절, 굴곡진 대한민국의 현대사 중에서도 그야말로 ‘격동의 시기’로 불린다. 영화 <보통사람>은 험난했던 시대적 애환 속 상식이 통하는 세상에 살고 싶었던 이들의 가장 특별한 이야기를 스크린에 고스란히 펼쳐냈다는 평가다.
영화는 80년대의 시대상을 현실적으로 다루면서도 사건보다는 그 안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의 이야기를 조명해 가슴 깊이 와 닿는 이야기를 담아낼 수 있었다. 국가에 충성하는 강력계 형사와 국가를 위해서라면 물불 가리지 않는 안기부 실장, 그리고 진실을 찾아 헤매는 기자까지 <보통사람> 속 인물들은 80년대의 시대상을 실제적으로 표현하며 몰입도를 높인다.
나라와 가족을 위해 살았던 보통의 인물, 성진이 귀한 바나나를 싸들고 들어와 아내와 아들에게 하나씩 나누어주고 본인은 남은 껍질만 맛보는 등의 ‘보통사람’의 소소한 디테일은 당시의 향수를 자극하며 또 다른 재미와 공감대를 이끌어낼 것이다.
여기에 진실을 쫓는 기자 재진은 시대의 분위기에 가로막혀 자신의 사명감을 발휘하지 못하는 모습으로 자유롭지 못했던 그 시절을 떠올리게 한다. <보통사람>이 그려낼 우리의 뜨거운 80년대는 시대를 관통하는 묵직한 메시지를 던지며 현재를 살아가는 관객들에게도 깊은 울림을 전했다는 평가다.
이 작품은 평범하지 않았던 시대, 1980년대 평범하게 살고 싶었던 이들의 가장 특별한 이야기를 담았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