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진단’ 전문의의 진찰과 골밀도 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상태바
‘골다공증 진단’ 전문의의 진찰과 골밀도 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 박세정 기자
  • 승인 2019.09.02 01: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골다공증

[시사매거진=주진현 기자] 골다공증 진단은 전문의의 진찰과 골밀도 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등이 필요하다.

골다공증을 완화하려면 현재 골다공증을 치료해 완화할 수 있는 치료법은 따로 없다. 따라서, 칼슘섭취와 운동 등 예방활동을 해야 한다. 칼슘과 비타민D는 뼈의 건강에 가장 중요한 영양소이기 때문에 잘 챙겨먹는 것이 좋다. 또, 시력을 교정하고 목욕탕, 계단 등에서 조심하는 등 여러 가지 주의가 필요하다.

볼 수 있는 요인은 영양부족, 운동부족, 유전적요인, 만성질환의 유무, 약물복용, 음주와 흡연, 저체중 등 다양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