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매거진]오는 8일 긴급 ‘국가사이버안전 대책회의’를 개최한다고 국가정보원이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 4차 핵실험 이후 북한이 국가기반시설 인터넷망ㆍ스마트폰 등에 대한 해킹 공격을 통해 우리의 사이버 공간을 위협함에 따라, 기관별 대비태세를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국정원 3차장이 주관하고 국무조정실ㆍ미래부ㆍ국방부ㆍ금융위 등 14개 부처 실ㆍ국장급이 참석하는 이번 회의에서는 정부ㆍ공공기관 대상 사이버 테러 시도 및 국내 주요인사 스마트폰 해킹 등 최근 북한의 사이버 공격 사례를 공유하고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사이버 테러는 공격 근원지 추적이 어려워 신속한 대응이 곤란한데다 막대한 사회ㆍ경제적 혼란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국제사회 제재 조치에 반발하고 있는 북한이 사이버 테러를 자행할 가능성이 그 어느 때 보다 높고, 실제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국정원은 보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긴급 ‘국가사이버안전 대책회의’는 2011년 ‘농협 전산망 사이버 테러’ㆍ2013년 ‘3.20 사이버테러’ 등 북한이 주도한 대규모 사이버테러 사건이 발생하거나 징후가 포착될 경우 개최된 바 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